우정사업본부는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운 ‘대한독립에 헌신한 외국인’ 주제로 기념우표 64만 장을 12일 발행한다.
기념우표는 총 2종으로 펄럭이는 태극기를 배경으로 헐버트와 베델의 모습을 담았다. 기념우표의 변지에는 헐버트의 업적인 사민필지와 아리랑 악보, 베델이 창간한 대한매일신보와 유품인 태극기를 담았다.
1886년에 처음 한국에 들어와 최초의 근대식 공립학교인 육영공원의 교사로 활동한 호머 베잘렐 헐버트(한국명 ‘헐벗’)는 1891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저술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돕고 영문판의 편집 업무도 담당했다.
1905년에는 고종 황제의 밀사로 미국을 방문해 을사늑약이 무효임을 호소하고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로 한일 협약의 부당함과 일본의 침략주의를 규탄했다.
이후 미국에서도 한국의 국권 회복을 위해 38년을 투쟁한 헐버트는 1949년에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길 원하노라”라는 유언에 따라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치됐다. 195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당시 태극장)에 추서돼 대한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았고, 2014년에는 한글에 관한 공로로 금관문화훈장에도 추서됐다.
관련기사
- 우체국 집배원이 복지사각지대 발굴한다2022.08.11
- 수도권 집중호우에 우편물 배달 일부 지연2022.08.09
- 우체국 소포배달원 휴가...12일부터 신선식품 접수 중지2022.08.08
- 우본, LGU+와 소외계층 디지털 학습 격차 해소2022.08.07
1904년 러일전쟁 직후 데일리 크로니클의 특파원으로 한국에 들어온 어네스트 토마스 베델(한국명 ‘배설’)은 대한매일신보와 코리아데일리뉴스를 창간해 강력한 항일 논조로 일제의 만행을 규탄했다.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반대를 시작으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주장하고 고종이 을사늑약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친서를 게재하는 등 일본의 침략을 폭로했다.
그는 “나는 죽을지라도 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민족을 구하라”라는 유언을 남기고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치된 베델은 1968년에는 대한민국 건국훈장이 추서돼 공로를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