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에 재무건전성 위협받는 보험사 PF 대출

1분기 부동산PF 대출채권 잔액 42조2천억…국내 18개 은행 PF대출 보다 높은 수치

금융입력 :2022/08/04 12:45

보험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규모가 40조원을 넘어서면서 금리 상승기에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PF대출은 부동산 개발 관련 건설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담보로 장기간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보험업계의 부동산PF 대출채권 잔액은 42조2천억 원으로 이는 국내 18개 은행(수출입은행 제외)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인 29조161억 원보다 13조96억 원 높은 수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지난 5월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보험업계의 부동산PF 대출 중 대부분은 대형 생보사와 손보사에 집중됐다.

생보사의 경우 23개사의 총 취급 규모(25조378억 원) 중 교보생명·삼성생명·동양생명이 차지하는 비중이 53%인 13조2천407억 원에 달한다.

메리츠화재·삼성화재·DB손해보험, 3개 손보사의 취급 비중은 12조2천546억 원으로 전체 취급량 16조9천879억 원에서 72% 달하는 비중을 차지했다.

그동안 보험사들이 PF 대출을 늘릴 수 있는 근거가 됐던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재무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리인상에 따라 보험사들의 PF 건전성 부실 가능성이 커지자 이복현 금감원장은 취임 직후 금융권과 릴레이 간담회에서 PF 대출에서 우발채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강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실제 PF 대출 채권의 연체율도 반등세다. 2019년까지 0.21% 수준이었던 연체율은 2020년 기준금리가 1%대 아래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0.07%까지 떨어져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지만, 지난 1분기 보험사 PF 대출 연체율은 0.18%로 전분기말(0.13%) 대비 0.05%p 상승했다.

보험연구원의 조영현 연구위원은 지난 달 24일 발간한 '금융시장 변동과 보험회사의 리스크 관리' 보고서를 통해 "보험사의 PF 대출은 경기가 하락할 경우 부실화 할 가능성이 확대된다"고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경제상황과 지속적인 금리인상 상황들을 봤을 때 PF 자산 부실화가 이미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융사 스스로가 자본확충과 대손충당금을 쌓아 버텨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저축은행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은 부동산 PF 대출한도가 설정돼 있는 반면 보험사의 경우 별도의 규제가 없다.

관련기사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PF 대출 관련 문제는 대부분 건전성"이라며 "현재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PF 대출 부실 얘기가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PF 부실 여건이 발생하면 우선 자체적으로 모니터링에 대한 결과보고를 금융당국이 받고, 그다음에 얼마정도 충당금을 쌓아야 되나, 혹은 대출금을 규제해야 되는지는 당국이 조정해야 되는 부분"이라며 "현재 내부에서 PF 관련 모니터링은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