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우주산업 유망 중기 5곳과 정책간담회

나라스페이스, 다비오, 루미르, 이노스페이스, 페리지에어로 등 참석

중기/스타트업입력 :2022/07/12 13:31    수정: 2022/07/13 05:08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1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우주산업 분야 중소기업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중기부 중소기업정책관과 미래산업전략팀장, 우주산업 분야 중소기업 대표 5명이 참석했다. 참석 기업은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이노스페이스, 다비오, 루미르 등이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우주산업 분야 국내 유망 중소기업의 기술 현황을 공유하고,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민간기업이 자율시장 경쟁구도의 우주개발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시대로 ▲발사체 재사용, ▲소형위성 대량생산, ▲상용부품 우주산업 적용 등으로 사업성 확보

2021년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세계 우주산업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2707억달러(약 298조원) 규모로, 2040년에는 약 3.6배인 1조1000억달러(약 1320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최근 누리호 2차 발사가 성공하면서 우주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우주산업은 발사체·위성 등 우주기기의 제작 및 운용, 우주관련 정보를 활용한 제품·서비스의 개발 및 공급을 모두 포괄하는 산업으로, 우리나라 우주 산업 규모(2.78조원)는 전 세계 규모 대비 약 1%인 상황이다.

왼쪽부터 이노스페이스 정훈 연구소장, 루미르 이봉은 전무, 다비오 박주흠 대표, 중기부 노용석 중소기업정책관,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박재필 대표,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김수환 이사, 중기부 오지영 미래산업전략팀장.

우리나라 전체 우주기업(389개) 중 대부분이 중소기업(345개, 전체 88,7%)이고, 누리호 발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은 300여개다. 이번 간담회 참여기업 5곳 중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는 초소형 위성을 제작해 누리호 발사에 참여했으며,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민간 스타트업 최초로 액체로켓 발사시험에 성공한 바 있다. 또 이노스페이스는 독자적인 초소형 위성 발사를 준비 중에 있으며, 루미르는 초소형 위성 제작 및 위성데이터 분석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다비오는 자체 AI 기술을 통해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 글로벌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중기부 노용석 중소기업정책관은 "국내 우주산업 분야는 최근 누리호 발사 성공 등으로 정착기에 진입한 중요한 시점임으로 중소·스타트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우주산업은 대형 국책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우주산업은 국가지원이 많은 시기에 우주기업의 규모도 증가하는 특성이 있는 등 정부의 역할도 중요한 분야"라고 밝혔다.

한편 중기부는 현장에서 논의한 정책 방안들을 심도 있게 검토해 국내 우주산업 분야 중소·스타트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