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21일 발사...센서 자체 전기부 문제 해결

단 분리 없이 센서 코어 교체, 전기적 문제 등 전반적 점검 마쳐

과학입력 :2022/06/17 18:24    수정: 2022/06/18 10:16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일이 21일로 잡혔다. 당초 우려했던 1,2단 분리 작업 없이 문제를 해결했다.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정책연구관은 17일 브리핑에서 "산화제 탱크 레벨 측정 시스템 중 레벨 센서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1-2단 분리 없이 핵심 부품만 교체해 해결했다"라며 "이에 따라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 21일 화요일 2차 발사를 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15일 누리호의 발사대 기립 및 고정작업이 완료되었다(자료=항우연)

누리호는 당초 16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15일 발사장 이송 후 기립해 점검하는 과정에서 산화제 탱크 센서의 오류가 발견돼 발사가 연기됐다.

산화제 탱크 센서는 연료와 함께 발사체 추진에 필요한 산화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다. 이 센서에 문제가 생기면 산화제 소모량을 알 수 없어 운항에 차질을 빚는다.

당시 산화제 센서 자체의 문제인지, 센서를 둘러싼 전기부(하네스)나 터미널 박스의 문제인지는 바로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16일 누리호 탱크 연결부 점검창을 열고 점검을 시작, 하네스와 박스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이어 센서의 전기부 코어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당초 센서 교체를 위해 발사체 1,2단 분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조사 결과 분리 없이 해당 부분만 교체 가능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17일 오후 2시 반까지 문제가 된 센서 코어를 교체하고,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 3차 발사에 사용할 센서 코어를 가져와 사용했다. 연구진은 4시 반까지 발사체 전반에 대한 각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누리호는 발사 예비일로 잡아 둔 23일 이전인 21일 발사할 수 있게 됐다. 하루 전인 20일 오전 7시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발사장으로 이동, 21일 오후 4시 발사 예정이다.

관련기사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은 "장마가 다가오고 있고 기상 변동성이 커 날씨는 계속 면밀히 지켜봐아 하며, 기상이 악화될 경우 일정 변경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현준 정책관은 "일정을 맞추기 위해 서두른 것은 아니다"라며 "할 수 있는 모든 전기적 점검 완료되었기에, 발사체에 화약류가 모두 장착된 상황에서 단 분리 작업의 리스크가 편익보다 크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