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D램 가격,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최대 5% 하락 전망

PC·스마트폰 등 구매력 약화로 D램 수요 감소..1분기 보다 하락세 둔화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2/03/29 16:16    수정: 2022/03/29 16:28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이슈로 올 2분기 D램 평균가격이 최대 5%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2분기 전체 D램 평균가격이 약 0~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 따른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수요가 단기적으로 감소하고, D램 구매자와 판매자의 재고가 소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2분기 D램 가격은 지난 1분기 8~13% 감소했던 것 보다 하락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14나노 D램(사진=삼성전자)

품목별로 보면, 2분기 PC용 D램 가격은 3~8% 감소되거나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현재 PC OEM 업체들은 보수적인 D램 재고 비축 전략을 취하고 있다.

서버용 D램 가격은 2분기에 0~5% 하락될 전망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기업 고객은 높은 수준의 재고를 보유하면서 공급 과잉 상태다. 서버 D램의 공급률은 100%를 상회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은 2분기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모바일 D램 가격은 2분기에 약 0~5% 하락이 예상된다. 높은 인플레이션, 코로나19의 대유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러 요인으로 스마트폰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생산 및 재료 준비를 계획할 때 더 신중해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트렌드포스는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생산 목표가 하향 조정되고 단일 기기의 평균 메모리 용량이 크게 개선되지 않아 2분기에도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2년 2분기 D램 가격 전망(자료=트렌드포스)

2분기 그래픽용 D램 가격은 0~5% 인상될 전망이다. 최근 가상 화폐 가격 약세의 영향을 받아 점차 그래픽카드에 대한 수요가 완화된데 따른 결과다. 또 D램 공급업체인 마이크론이 2분기에 GDDR6 8기가바이트(GB) 공급에서 철수하고 16GB 생산으로 전환하면서 그래픽용 D램은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 문제에 직면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관련기사

다만, 단말 수요가 둔화되더라도 현재 시장에서는 GDDR6 8GB가 주류이기 때문에 제조사는 16GB로 전환하는데 시간이 걸릴것으로 관측된다.

소비자용 D램에서 DDR3은 제한된 출하량으로 인해 2분기 가격이 3~8% 상승할 전망이다. DDR3은 와이파이6, 5G 기지국 등에서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DR3의 생산량을 점차 줄여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DDR4 가격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 0~5% 하락세를 유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