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침례병원 부지를 매입하며 건강보험 제2병원 논란이 마무리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현재 건강보험 병원은 일산병원이 유일하다.
동부산권의 핵심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온 침례병원은 2017년 파산하며 국정감사 등에서 제2 공공병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그동안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은 복지부·건보공단·부산시 및 정부관계자들과 200회 이상 면담 및 간담회를 통해 부산 침례병원이 ▲기존 병원의 매입 가능성 ▲공급자 반발 최소화 ▲우수한 진료권 입지 ▲전문인력 수급의 용이성 ▲충분한 의료수요 등 최적의 보험자병원 설립조건을 가지고 있다며 제2 보험자 병원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부산시 역시 열악한 공공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서부산권에는 서부산의료원 건립을, 동부산권은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추진해 왔다. 특히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는 동부산권의 의료서비스 제공은 물론, 코로나19 등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부산의 공공의료벨트 구축을 위한 핵심축의 하나로 추진돼 왔다.

이러한 가운데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유암코와 499억 원으로 계약금액을 합의한 데 이어 지난달 28일 부지 매매계약 체결을 완료, 보험자병원 설립 논의를 위해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지속해서 협의를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부산시는 14일 오전 11시 구(舊) 침례병원부지에서 ‘비수도원 보험자병원 부산 설립 결의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공공병원화를 위한 협력의 첫 결실인 부지취득을 기념하고, 공익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조해 온 유암코에 감사패를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또 결의대회를 통해 민·관·정이 비수도권 첫 보험자병원 부산 설립을 촉구하고, 이를 위한 공동 대응의 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특히 결의문을 통해 동부산권역 필수 의료공백 해소와 비수도권의 취약한 공공의료 보완을 위해 ▲동부산권 의료공백 해소를 위해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촉구 ▲권역별 의료벨트 완성을 위해 보험자병원 지정 추진 ▲부산 공공의료 체계 완성을 통한 대한민국 공공의료 성장에 일조 등의 정부에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매입 부지에 대해 정부의 무상사용을 허용하겠다며, 보험자병원 부산 설립계획과 지방비 부담 완화 방안을 수립해 20대 대통령선거 공약으로 부산시민에게 약속한 공공의료체계 발전의 실현도 촉구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부산시민에게 약속한 만큼, 모두의 희망처럼 비수도권 첫 보험자병원이 부산에 설립되길 기원한다”라며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되어 실현될 수 있도록 인수위와 정부 부처를 방문하는 등 저부터 직접 발로 뛰겠다”라고 전했다.
백종헌 의원은 “끝까지 보험자 병원 설립을 위해 책임지고 진두지휘하겠다”라며 “앞으로도 부산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공단과 함께 긴밀히 협조하고 윤석열 당선인께서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약속한 만큼, 끝까지 침례병원 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