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제품 공공 진입 효자 '혁신제품 지정' 추진

중기부, 다음달 15일까지 모집...3년간 유효하며 현재 189개 선정

중기/스타트업입력 :2022/02/16 17:06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중소기업이 개발한 혁신제품을 공공조달과 연계해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공공성이 있는 제품을 16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세부내용 확인 후 접수하면 된다. 지정된 혁신제품 중 68%가 공공시장 진입에 성공했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은 중기부의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개발한 제품 중 혁신성과 공공성이 뛰어난 제품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이하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초기 판로를 지원하는 제도다.

중기부의 기술개발(R&D) 지원을 통해 성공적으로 개발을 완료해 우수한 기술적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초기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혁신제품에 대해 이 제도를 통해 공공부문을 연계, 초기 판로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혁신제품 정보는 조달청 혁신조달 종합포탈(혁신장터)에 등록하며, 지정 후 3년간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을 통한 공공조달 참여가 가능하다.

중기부는 지난해 상, 하반기 기술개발지원 성공기업 대상으로 2회 공고를 통해 299개 제품을 접수를 받아서 총 94개를 혁신제품으로 새로 지정 했다. 특히, 산업 현장 사고 예방을 위해 '산업용 추락보호 에어백'은 관성센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 추락감지센서 판정 결과를 바탕으로 추락사고 상황을 감지하고 에어백을 동작시켜 추락사고 발생 시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2020년 상반기에 혁신제품으로 지정돼 공공기관의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지정된 혁신제품 중 68%가 공공시장 진입에 성공해 총 757억 원의 공공조달 성과를 창출했다고 중기부는 밝혔다. 27개 중앙부처, 96개 공공기관, 180개 지방자치단체에 납품됐다. 또, 지정된 189개 혁신제품 중 17%(28개)는 미국 등 46개국으로 1063만달러(약 128억원)의 해외수출 실적도 달성했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중기부는 혁신제품 지속적 발굴, 다각적 홍보와 판로지원을 기반으로 시장 진입을 통해 판로 확대 등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에 기여하겠다”며 “에너지・사회간접자본(SOC)・정보통신기술(ICT)분야 등 공공부문에서 혁신제품이 적재적소로 구매 및 도입돼 공공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양방향 소통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