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 사용 AI 개발에 올해 716억 투입

산림해충 방지 AI 등 신규 3개 포함 총 13개 사업 추진...사업자 공모

컴퓨팅입력 :2022/02/15 12:00

유출된 화학물질을 식별해 화재진압 등 현장대응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이 정부 과제로 개발된다. 또 경제성장과 소득 재분배 등 재정투자 효과를 분석하고 차세대 예산관리시스템과 연계해 경제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인공지능과 산림영상(드론 촬영, 산림청) 등을 활용해 고사목 판독 과 산림해충 발생 지역을 탐지하는 인공지능도 올해 처음으로 정부 과제로 개발이 진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부처와 지자체 협업을 토대로 안전・국방・행정・제조 등 각 분야에 대해 대규모 데이터 수집과 가공부터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및 실증까지 전 단계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융합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융합 사업'은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 대해 인공지능을 접목해 국민체감 성과 창출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안전・국방 ▲행정 ▲제조 ▲기타 등 4대 분야의 총 13개 사업 및 과제에 대해 716억원을 투입한다. 13개 사업 중 3개 사업이 신규다. 

과기정통부는 13개 사업 중 463억9000만원 규모 10개 사업 및 과제를 수행할 33개 컨소시엄을 새로 공모, 선정한다. 신규과제 수행 컨소시엄은 공모(2월11일~) 이후 적합성 검토, 서면평가, 발표평가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된다. 과기정통부 누리집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누리집에서 자세한 공고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과기정통부가 시행하는 각 분야별 인공지능 융합 사업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화학물질 사고 대응 등 안전・국방 분야 인공지능 융합 

화학사고 대응(소방청): 화재특성 분석을 통해 유출된 화학물질을 식별해 맞춤형 화재진압 등 현장대응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올해 새로 개발한다. 올해 질산 등 10종에 이어 23년 17종으로, 24년 23종으로 늘리고 울산 화학재난합동방제센터에서 실증한다.

해안 경계(국방부): 군 감시장비(레이더, 열화상기기 등)를 활용해 해안객체 탐지 및 상황 판단을 위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 및 고도화하고 서해안 소초 등을 대상으로 실증을 추진한다.

지뢰 탐지(국방부): 매설한 지뢰를 안전하게 탐지 및 제거하기 위해 탐지대상을 확대(‘21년 5종 → ‘22년 12종)하고 지뢰 탐지 정확도를 향상하는 한편 야전부대 지뢰 훈련장을 대상으로 실증을 추진한다.

지하공동구(지자체): 노후 지하공동구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및 사고예방을 위해 2개 지자체 지하공동구 시설(22km)을 대상으로 위험상황과 센싱데이터 등을 표준화한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통관, 재정정책 등 행정 분야 인공지능 융합 

재정・경제 정책(기재부): 경제성장, 소득 재분배, 일자리 측면의 재정투자 효과를 분석하고, 차세대 예산관리시스템과 연계해 경제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도 올해 새로 개발한다.

불법복제품(관세청): 세관을 통해 수입되는 불법복제품을 판독하기 위해 위조품 품목을 확대(’21년 30종→’22년 35종 추가)하고 판독 정확도를 향상하며 인천세관을 대상으로 실증한다. 올해 추가된 35개 품목은  IT제품과 자동차부품, 생활가전, 이미용품, 완구 및 문구, 패션잡화 등이다.

 ■ 지역특화산업 등 제조 분야 인공지능 융합

지역특화산업(지자체):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 제조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원 대상 광역지자체를 확대(’21년 충북, 12개 기업 → ’22년 신규 6개, 24개 기업 이상)해 산업 현장에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 및 도입한다.

공장 에너지(산업부): 산업단지 내 공장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 지원 대상 산단을 확대(’21년 2개→’22년 5개)하는 한편 최대 소비전력 예측과 관리 등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을 개발 및 도입을 지원한다.

지난해 창원·반월시화 산단에서 올해 확대된 5곳은 광주첨단, 인천남동, 구미, 여수, 대구성서 단지다.

산림해충 방제, 실종자 탐색에도 인공지능 융합

산림해충 방제(산림청): 산림영상(드론 촬영, 산림청) 등을 활용해 고사목 판독 과 산림해충 발생 지역을 탐지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올해 새로 개발한다.

실종자 탐색(경찰청・지자체): 미아와 치매노인 등 실종자를 신속히 탐색하기 위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3개 지자체와 관할경찰서를 대상으로 개발해 실증한다.

민간지능정보화(지자체・민간): 구강 보철물 설계와 저장매체 X레이 보안검색, 양귀비 불법재배 탐지 등 인공지능 융합 서비스(6개 과제) 고도화 및 현장 실증을 지원한다.

판교 테스트베드(경기도): 인공지능 제품과 서비스를 체험하고 실증하는 인프라를 증설하고, 모빌리티・생활편의・재난안전 등 인공지능 융합 실증과제도 확대(’21년 7개→’22년 6개 추가)해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류제명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인공지능 융합은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견인하는 핵심 전략”이라면서 “올해는 그간 추진해왔던 인공지능 융합 성과물을 다양한 현장에 적용 및 확산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뉴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