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호 위메이드트리 이사는 19일 판교LH기업지원허브 첨단공연장에서 진행된 대한민국 NFT 포럼에서 블록체인 게임을 준비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P2E 게임의 활용요소와 기획방향'을 발표했다.
김 이사는 블록체인 게임시장에서 활동하며 소수의 기업만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 기획, 사업, 법무와 재무 등에 대한 이해도를 갖추고 있었다며 대부분이 지엽적으로 블록체인 게임 시장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블록체인 게임 시장을 알고나면 간단하고 이해가 쉬운 시장이다. 지금은 P2E 시장 시작 시기에 기회라는 관점에서 좋은 시기다"라며 마케팅과 이용자 유지, 매출 등을 게임사가 P2E 게임을 선보이는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김건호 이사는 "기본적으로 채굴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으면 이용자 유입되는 것이 기본이며 사전 모집에서 토큰 지급 이벤트, 게임 출시 시점에는 특정 레벨에 토큰을 지급하는 식으로 이용자를 모을 수 있다. 또한 채굴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게임은 이용자 유지가 좋을 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다만 "단순히 지금만을 위한 설계가 아닌 게임에 대한 적응, 게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이런 요소에 채굴 시스템이 큰 효과를 낸다. 또한 이용자 유지가 좋기 때문에 매출은 당연히 따라오게 된다"라며 "이용자 레벨이 성장할 수록 채굴량과 소비량이 늘어나기에 이런 관점에서 게임을 기획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P2E 게임의 장르별 기획방향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MMORPG는 토큰을 적용할 요소가 게임에 많다며 길드전이나 PvP 등 경쟁요소에 대한 보상을 토큰으로 지급하는 설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유니크한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NFT로 거래하는 사례를 말하며 이를 통한 수수료 매출도 많이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전략 게임의 경우는 전쟁을 통해 자원을 채굴하고 이를 쟁탈하는 형태의 설계를 설명했고 카드게임은 하위 카드를 재료로 소진되는 과정을 기반으로 모든 카드를 NFT화 해서 성장을 위한 NFT 거래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FPS의 경우는 경쟁 콘텐츠에서 토큰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으며 캐주얼게임은 채굴을 통해 획득한 재화를 회수하는 시스템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건호 이사는 "토큰 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이 가장 중요하다. 게임에서 토큰을 많이 배포했을 때 소비가 적게 이뤄지면 토큰이 누적되고 가격이 하락된다. 수요와 공급에 대한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P2E 관점에서 경제를 설계할 때 법정화폐에 대한 매출과 토큰 경제 매출도 더해지는데 토큰 경제는 유동적이기에 이를 고려하는 것이 쉽지 않다"라며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법정화폐와 토큰 경제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법정화폐로 살 수 있는 아이템과 토큰 구매 아이템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토큰 가격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소비처를 만들어야 하는데 게임 이외에 부분을 강화하면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 게임 파이를 이용해 토큰을 묶을 수 있는 방법도 고민하면 좋다"라고 덧붙였다.
P2E 게임을 시작할 때 초기에 토큰을 많이 풀더라도 이후에는 흐름 안정화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수명이 짧은 게임에 토큰을 사용할 수 없게 될 경우에는 토큰 보유자의 반발이 클 수 있기에 장기적인 서비스를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관련기사
- 코빗-이스트게임즈, 게임IP 적용한 NFT 사업 협력2022.01.19
- 한국NFT콘텐츠협회, NFT SEOUL 2022 개최2022.01.18
- 신한금융, 블록체인·NFT 기업에 50억원 투자2022.01.18
- 그라운드X-비마이프렌즈, NFT 기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확산 협력2022.01.17
이어서 "서비스를 시작하면 어뷰저가 늘어난다. 이를 방어하거나 어뷰저가 게임을 즐기기 어려운 기획을 준비해야 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채굴을 하지 않고 서버에서 채굴할 수 있는 구조도 갖춰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건호 이사는 현재 P2E 시장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며 "블록체인 게임과 P2E 게임은 중소게임사에게도 기회가 열려있다. 지금은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라며 발표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