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업계, 경품 기준 만든다…내년 자율 협의체 발족

최근 사업자간 첫 회의…가이드라인 수립할 수도

방송/통신입력 :2021/12/30 12:55    수정: 2021/12/30 13:05

대형 알뜰폰 사업자들의 과도한 경품 문제가 좀처럼 가라앉지 못하면서, 알뜰폰 시장 건전화를 위한 업계 자율 협의체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30일 정부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와 알뜰폰 사업자, 관련 협회는 알뜰폰 경품, 제휴 등 마케팅 활동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알뜰폰 시장에서 대규모 자금력을 가진 업체들의 경품 공세로 인해 중·소사업자들이 피해를 보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방통위의 이같은 제안에 통신3사 계열 알뜰폰 업체 일부와 중소 알뜰폰 업체 총 10여곳의 관계자들이 지난주 경기도 과천 방송통신위원회 회의실에서 모여 관련 회의를 진행했다.

앞서 올초 방통위는 통신사 계열 알뜰폰 업체들에 경품 이벤트시 사은품을 3만원 이하로 구성하도록 구두 경고한 바 있다. 또한 3만원 기준을 초과할 경우 해당 통신사의 망을 제공하는 중소사업자들에도 그에 준하는 수준으로 지원해야 한다. 상품권이나 유가증권 등은 제공하면 안 된다.

이번 협의체 구성을 통해 방통위가 당장 관련 가이드라인 수립에 착수하고 이를 통해 직접 개입하기보다, 필요할 경우 각 업체가 수집한 모니터링 자료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관여할 예정이다.

아직 경품에 대한 정의, 모니터링 방식 등 운영 규칙 수립이 필요한 단계로,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와 방송통신이용자보호협회가 협의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간다. 참여 사업자들을 정해 이르면 내년 1월경 킥오프 회의를 열 방침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들 간 마케팅 과열이 문제가 됐었는데, 최근엔 이를 넘어 대형 플랫폼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마케팅을 벌이려는 조짐이 있다”며 “연초엔 알뜰폰 A회사가 과도한 경품 행사로 경고를 받는 등 문제가 컸지만, 하반기엔 B회사에 대한 신고가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

가이드라인 작업이 이뤄질 경우 방통위는 알뜰폰 시장 경쟁상황 분석을 위한 연구과제를 진행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한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선 시장 플레이어들이 과열 경쟁을 막고자 모니터링 등 자율적인 수준에서 협의체를 운영하는 것이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질 수 있다”며 “모니터링 자료 등이 가이드라인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난주 회의에 모인 알뜰폰 기업들 대체적으로는 방향성에 대해 공감하는 상황"이라며 "5G 중저가 알뜰폰 요금제를 보더라도 대형 사업자와 중소 사업자 간 출시 시점이 다른데 경품 마케팅에서도 형평성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