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 감염병 대응, 신약․의료기기, 질환 극복 등을 위한 보건의료 연구개발(R&D)에 1조4천687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2021년 보건의료 연구개발예산인 1조3천285억원 대비 1천402억원이 증액된 규모로 정부 R&D 총예산 29조7천770억원의 4.9%를 차지한다. 특히 전년 대비 보건의료 R&D 예산 증가율은 10.6%로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8.7%를 상회하고 있다.
정부는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확대,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112개 사업의 신규과제 1천854억원, 계속과제 1조2천83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22년 3천582억원)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임상․임상 단계 연구 지원(’22. 976억원)과 코로나19를 비롯해 신‧변종 감염병(Disease-X)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백신의 개발역량 강화, 평가기술 개발, 공급 안정 및 글로벌 백신 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해 1천169억원(13개 사업)을 지원한다.
또 감염병 대유행(pandemic)에 대응하여 신속히 백신을 제작할 수 있는 mRNA, 나노 파티클(NP), 합성항원 등 백신 플랫폼과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등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에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백신 개발 분야 주요 신규 사업으로는 ▲복지부(백신 기반기술개발 사업 65억원, 신속 범용백신 기술개발 사업 56억원,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사업 48억원, 신변종 감염병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사업 105억원) ▲과기부(백신허브기반구축 바이오의료기술개발 193억원, 감염병차세대백신기초원천핵심기술개발 100억원) ▲산업부(백신 원부자재 생산 고도화 기술개발 69억원) ▲질병청(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사업 123억원,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 67억원, 공공백신개발지원사업 50억원) 등이다.
이와 함께 면역증강제, 접종․안정화 및 부작용 예측 등 백신 효과 확대와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과 관련해 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기초, 중개‧임상, 제품화 및 인‧허가까지 전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
지원예산은 7천899억원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1천343억원, 891억원 증액),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1천751억원, 88억원 감액), 전자약 기술개발 사업(52억원, 신규 24억원) 자폐혼합형 디지털치료제 개발(신규 31억원) 등이 있다.
부처별로 보면 ▲복지부(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사업 68억원, 자폐혼합형디지털치료제개발 31억원, 차세대의료연구기반육성사업 50억원,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48억원, 전자약기술개발사업 28억원, 실사용데이터 RWD 기반의 임상연구 지원 사업 50억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큐레이션 기술개발 사업 27억원) ▲과기부(인공지능활용혁신신약발굴 17억원,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30억원, 전자약 기술개발사업 24억원) ▲산업부(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14억원, 5G기반 이동형 유연의료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36억원) ▲식약처(첨단 독성 평가기술 기반 구축 20억원) ▲질병청(헬스케어 이종데이터 활용체계 및 인공지능 개발 30억원) 등이다.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기회 확대와 바이오헬스 시대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과 임상연구 분야 투자 강화를 위해 936억원이 편성됐는데 전년 대비 172억원 줄었다.
우선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을 위해 복지부와 과기부가 전년 대비 254억원 증액된 382억원을 지원한다.
또 복지부는 첨단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 등, 344억원)과 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 사업 (신규 68억원)을 과기부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조직재생, 142억원)을 지원한다.
공익적 R&D 투자 강화와 관련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혈액 부족, 건강 격차, 취약계층 돌봄, 비대면 진료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 기술개발 지원 701억원 등 총 2천139억원이 편성됐다.
주요 사업을 보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적정수혈을 위한 의료기술개발사업(신규 20억원) ▲공익적 의료기술 연구사업 (119억원, 77억원 증액)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사업(101억원, 25억원 증액)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84억원, 36억원 증액) 등이다.
정신건강, 치매, 암, 미세먼지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에는 157억원이 증액된 1천264억원이 편성됐다. 주요 사업으로는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운영 사업(430억원, 70억원 증액) ▲치매극복연구개발 (112억원+ 112억원) ▲정신건강 연구개발 (신규 62억원) ▲뇌질환 극복연구(95억원, 17억원 증액) ▲만성병관리기술개발(210억원, 52억원 증액) ▲미세먼지 기인 질병대응연구(48억원, 2억원 증액) 등이다.
의사과학자, 규제과학 전문가 등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병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를 육성에는 101억원이 증액된 1천67억원이 편성됐다. 특히 의사과학자는 임상교수․전임교원 대상 K-medi 융합인재 양성 사업 신설 등으로 학부생부터 박사 후 신진 의사과학자까지 전주기 지원체계가 구축됐으며,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운영되는 ‘범부처 협의체’를 중심으로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류근혁 제2차관은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변종 감염병과 정신건강, 치매, 암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R&D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 밝혔다.
2022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에 부처별로 통합 시행계획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