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중 78조 규모 전력망 보강계획 수립

29일 전력계통 혁신 감담회 개최…전력계통 혁신방안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1/12/29 13:10

정부가 내년 상반기 중 78조원 규모 ‘2030년 전력망 보강계획’을 수립한다. 특히 발전할 곳에 먼저 전력망을 까는 ‘선 전력망 후 발전’ 패러다임으로 전환해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전력계통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박기영 제2차관 주재로 한전 등 공기업·공공기관, 민간전문가 및 업계 종사자 등이 참석하는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안정적 전력망 보강을 위한 구체적 예산과 계획이 도출됐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약 78조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는 2030년까지의 전력망 보강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추산된 예산은 2030년까지 기 계획된 송변전설비투자(23조4천억원)와 배전설비투자(24조1천억원)에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추가 필요투자 약 30조원을 더한 수치다. 이는 추산치로 구체적인 금액은 전력망 보강계획 수립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산업부는 29일 박기영 제 2차관 주재로 관계기관과 전력계통 혁신 간담회를 개최최했다 (사진=산업부)

정부는 또 전력망을 적기에 확충하고 송·변전 설비 건설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계획을 살펴보면 대규모 풍력발전 단지는 송전 사업자가 공동 접속설비를 사전에 구축해 단지 준공과 함께 계통망에 연계하도록 할 방침이다. 송·변전 설비 건설 지연이 지속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근 지역 주민 지원을 강화하고 전원개발촉진법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해 건설 절차를 개선하기로 했다.

또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을 2025년까지 구축한다. 필요시 배전망 접속용량을 우선 극대화한 뒤 나중에 제어·관리하는 ‘선 접속 후 제어’ 방식도 도입할 예정이다. 특정 지역에 편중된 전력망 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도 마련한다.

관련기사

박 차관은 “2030 NDC 이행과 2050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확대될 재생에너지를 수용하기에는 현재 전력계통이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했다”며 “전력망 운영의 고도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전력계통망 관련 기관 기능과 역할을 되짚어보고, 전력계통 운영 전반에 대한 거버넌스 구축도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 차관은 간담회에 앞서 서울 남부권역 배전현장을 총괄하는 강남배전센터를 방문, 겨울철 전력수급과 코로나19 방역관리 현황을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