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가 오는 2030년 연구개발(R&D) 예산의 30% 이상을 탄소중립에 투입한다. 내년 탄소중립 R&D 예산은 총 1조2천억원으로 올해(8천억원) 보다 50% 이상 늘어난다. 정부는 산업계의 탈탄소 공정과 에너지 분야의 무탄소 발전 확대·에너지 전환 기술개발을 지원, 2050년 탄소중립 달성에 팔을 걷어 붙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상공회의소와 17일 대한상의에서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산업계 제언을 수렴하고, 구체적 지원정책의 첫 단추로서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비전과 전략'과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산업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탄소중립 R&D·세제 지원 강화, 안정적 신재생에너지 공급, 자원순환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정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일반산업(섬유, 제지 등), 산업공통 설비(보일러, 전동기 등)의 탄소중립 기술개발을지원색한다.
철강은 고로와 전로 등 탄소계 공정을 수소환원 제철로 100%로 전환한다는 목표 아래 2030년까지 1단계로 수소환원용 용해 기초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석유화학 분야는 나프타 분해로를 전기가열 분해 공정으로 전환하는 게 목표다. 시멘트는 소성 공정을 친환경 신열원 기반으로 바꾸기 위한 R&D가 단계별로 이뤄진다. 수송 분야에서는 친환경차와 관련해 탄소중립 대체연로 상용화를, 친환경 선박과 관련해서는 수소·암모니아 추진의 무탄소 선박 상용화가 목표다.
에너지 분야는 청정연료 기반 무탄소 발전 및 재생에너지 대형화·효율화, 수소화·유연화고효율화 기술 등에 투자한다.
산업부는 또 대규모 기술 개발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대형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실시하고 기후대응기금 등도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6조7000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개발 예타 사업에 대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한 바 있다.
산업부는 R&D 지원체제도 성과 및 현장, 국제공동 R&D 중심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탄소 감축 성과 중심의 기술개발을 위해 핵심 기술별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수요기업 등을 총괄 주관기관으로 산학연 최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R&D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형 R&D를 수행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컨소시엄을 통합 연계한 업종별 '그랜드 컨소시엄'을 도입해 수행기관 간 기술 교류와 상호 협력도 촉진한다.
아울러 미국·영국·독일 등 기술 선도국과 공동 펀딩형 R&D를 확대하는 등 국제 공동 R&D도 활성화한다.
관련기사
- 문승욱 산업부 장관, 탄소중립 방안 청년기후활동가와 논의2021.11.17
- 산업부, 친환경 산업단지 육성한다2021.11.11
- 산업부, 전자·전기·배터리업계 해외 시장 진출 설명회 개최2021.11.10
- 산업부, COP26 연계 글로벌 무공해차 전환 가속화 논의2021.11.10
탄소중립 기술 개발 지원과 관련, 민간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혁신 펀드를 조성하고 탄소중립 기술가치 평가모델 등도 개발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총력 지원방안을 담은 탄소중립 산업대전환 비전과 전략은 오늘 주신 제언들을 추가로 면밀히 검토, 보완해 12월 최종안을 발표하겠다"며 "한계돌파형 기술혁신을 위한 R&D 예타 사업, 탄소중립 세제·금융 지원 확대 등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저탄소 경제전환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이슈 등에 대해서도 상시 모니터링하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