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빌라 지하층 평균 전셋값 1억435만원

인터넷입력 :2021/09/08 11:58

서울에 위치한 전용면적 60㎡ 이하 연립·다세대(빌라) 지하층의 올해 평균 전세보증금이 1억43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지하 등 지하 주거지는 옥탑방과 함께 주거환경이 열악한 곳으로 꼽힌다.

8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달까지 서울에서 전세 거래된 전용 60㎡ 이하 빌라 지하층의 전세 보증금은 연간 기준 평균 1억435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세금이 1억원을 돌파한 건 국토부가 관련 실거래가를 집계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세금은 2017년 7천801만원을 기록했고 이듬해 8천814만원으로 치솟았다. 지난해엔 9천500만원, 올해 1억원을 옷돌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사진=다방)

올해 서울 빌라 지하층 평균 전세금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서초구로, 1억7천434만원에 달했다. 방배동 전용 59.83㎡ 지하층은 3억3천만원, 반포동 전용 43.56㎡ 지하층은 2억8천만원에 전세 거래된 것이 평균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강남구도 개포동에서 전용 37.35㎡ 지하층이 3억5천만원에 거래된 영향으로, 평균 전세금 1억7천73만원을 기록했다. ▲종로구(1억6천31만원) ▲용산구(1억4천387만원) ▲영등포구(1억3천214만원) ▲중구(1억3천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 전세금이 가장 높은 곳은 종로구 부암동의 전용 59.87㎡짜리 빌라 지하층이었다. 지난해 지어진 신축 빌라로, 4억원에 거래됐다. 용산구 이태원동에 들어선 전용 41.76㎡ 지하층은 3억8천만원, 북아현동에 들어선 전용 59.36㎡ 지하층은 3억5천만원에 전세 거래돼 평균치를 상회했다.

관련기사

(사진=다방)

평균 전세금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도봉구(7천89만원)다. ▲노원구(7천200만원) ▲강북구(7천909만원) ▲은평구(8천15만원) ▲양천구(8천114만원) ▲중랑구(8천429만원) 순으로 전세금이 낮았다.

다방 관계자는 "최근 집값과 전월세 가격 급등 영향으로, 주거 취약 시설인 빌라 지하층의 전세금도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