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룸 필요 없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건국대 이만종 교수, 새로운 반용매 세척법 개발, 일반 습윤 대기환경에서 제작 가능해져

디지털경제입력 :2021/09/07 09:53

건국대는 공과대학 이만종 교수(화학과) 연구팀이 습윤환경에서도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에 지난 7월 30일자로 게재됐다.

이만종 건국대 교수

연구팀 관계자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엄격한 환경에서 제조해야 한다는 제한은 그동안 설비투자 비용면에서 큰 부담 요인이었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설비투자 비용이 높은 드라이룸 또는 질소 글러브박스 없이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줘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이 아닌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광흡수층으로 사용한다. 최고효율이 높고 비교적 간단한 용액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설비 등이 상용화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높은 습도에서 전구체 용액이 수분과 결합하면서 고품위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습도가 낮은 드라이룸을 설치해야 했다.

이만종 교수연구팀은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일반 습윤 대기 환경(상대습도>40%)에서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반용매 세척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습도에 따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서로 상보적인 낮은 증기압 특성과 낮은 끓는점 특성을 갖는 다이부틸에터와 다이에틸에터가 혼합된 반용매로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관련기사

연구팀이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습윤 대기 환경에서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효율인 22.06%를 달성했다. 또 1천200시간 후 효율도 초기 효율의 94%를 유지하며 안전성을 보였다.

이만종 교수는 “엄격히 조절된 환경 제약에서 탈피해 습윤 환경조건에서도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이 가능함을 제시했다”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