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간정보산업 2025년 매출 13조 규모로 키운다

‘제3차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 발표…디지털 경제 핵심 기반 산업으로

컴퓨팅입력 :2021/05/16 15:16    수정: 2021/05/17 14:35

정부가 공간정보산업 매출액을 2025년까지 13조원 규모로 육성해 디지털 경제 핵심기반 산업으로 육성한다. 또 공간정보 분야 국가경쟁력을 2019년 13위에서 2025년에는 7위권으로 끌어올린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목표를 설정한 ‘제3차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2021∼2025)’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17일 확정한다고 16일 밝혔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부는 ▲기업 맞춤 지원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 ▲공간정보 유통·활용 체계 선진화 ▲미래 핵심기술 개발 및 융복합 인재 육성 등 3대 추진전략 12개 추진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아이디어 공모전, 기술 경연대회 등을 통해 매년 30곳 이상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해 업무공간·데이터·창업 컨설팅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2025년까지 50억원을 목표로 창업기업 생존과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창업 투자 펀드를 조성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대규모 융·복합 사업(20억원 이상)과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 사업을 발굴하는 한편, 대기업이 수행하는 사업에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이 공동참여 하도록 유도한다.

또 공간정보 사업에 적정 대가가 반영되도록 ‘공간정보 용역사업 대가기준’을 마련해 기업의 사업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공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을 통해 공공·민간의 수요에 맞는 데이터 분석기능 제공을 확대하고, 창업·중소기업의 데이터 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공간정보 데이터 바우처’를 운영할 계획이다.

융복합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위성·항공·드론 등 다종영상의 민간 개방을 확대하고 위성정보와 각종 통계를 융복합해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정밀도로지도·위성영상 등 공개가 제한돼 있는 고정밀 3차원 데이터는 암호화 등 보안 조치를 마련해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 플랫폼을 통해 신속 제공한다.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 분야 표준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공간정보사업의 표준적용 여부에 대한 사전·사후 관리를 강화해 데이터 연계·공유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공간정보 수집·가공을 정밀화·자동화·실시간화 하는 기술을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개발, 한국판 뉴딜의 핵심과제의 하나로 추진하는 ‘디지털 트윈국토’를 고도화하고 디지털 트윈 데이터를 민간이 활용하기 쉽도록 인공지능(AI) 기반 분석·가공 기술도 개발한다.

국토지리정보원 신축 청사에 공용 R&D 테스트베드를 조성하고 기술 중개 플랫폼을 운영하는 등 R&D 성과를 확산하는 데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전경

또 공간정보 전문지식과 AI·드론 등 신기술 지식을 겸비한 인재 육성을 위해 융복합 학과·커리큘럼·기술자격 신설 등 교육 인프라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공간정보산업 매출액을 2019년 9조원에서 2025년 13조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창업기업 발굴·육성 사업도 기존 연간 15곳에서 40곳으로 확대하고 사업대가도 지금보다 20% 이상 개선한다.

해외사업 수주는 2016~2019년 1천300억원에서 2021~2025년에는 3천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 수준을 2019년 81%에서 2025년에는 90%로 끌어올리고 공간정보 융복합 인력도 연간 800명에서 2천명으로, 매출액 400억원 이상 기업도 2019년 1.1%에서 2025년에는 4%로 늘려 공간정보 부야 국가경쟁력을 2019년 13위에서 2025년에는 7위권으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이번 제3차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판으로 산업계에 실질적으로 도움 되는 세부 실천과제를 발굴·추진해 나가는 한편, 디지털 트윈 등 공간정보 분야 한국판 뉴딜 사업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