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고출력 충전, 주행 중 충전 등 혁신기술로 미래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무선 충전 기술 국제표준화를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 중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표준화회의를 15일 개최한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현대자동차, 와이파워원 등 국내 대학 및 기업 전문가와 미국·독일·스위스·이스라엘 등 7개국 해외 전문가를 포함한 30여명이 온라인으로 참가한다.
무선 충전은 주차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고 주행 중에도 충전이 가능한 차세대 충전방식이다. 세계 각국이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와 일본이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안한 3종, 일본이 제안한 3종 등 6종의 국제표준안에 대한 기술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차 중 무선 충전 기술은 일본이 표준안 3종을 제안하면서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왔다. 일본 표준안은 출력 11kW 이하 무선 충전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어 기술 성장에 한계가 있었다. 11kW는 아파트 등에 설치된 완속 유선충전기(7kW)와 유사한 수준의 출력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급속충전기 수준의 50kW 이상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 국제표준안을 IEC에 제안, 혁신기술로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표준안 명칭은 ‘전기차 고출력 무선 충전 상호운용성 및 안전성’으로 KAIST 윤우열 교수가 제안했다.
표준안은 지난해 12월 국제표준 제정 첫 관문인 신규작업과제(NP·New Proposal) 채택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PNP는 기술위원회 투표 결과 정회원국 3분의 2 이상 찬성, 5개국 이상의 전문가 참여 등 2개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50kW급 무선 충전이 상용화되면 1시간 만에 배터리 용량의 80%까지 충전이 가능하고 교차로 등에서 신호대기 중 약 1분만 충전해도 4~5km를 주행할 수 있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이날 회의는 NP 채택 이후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구성된 프로젝트팀의 첫 번째 기술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서는 무선충전기 핵심 부품인 코일 구조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국표원은 우리나라가 프로젝트팀 의장(KAIST 윤우열 교수)을 맡아 국제표준 제정 절차를 이끌고 있어 우리 기술인 타원형 코일 방식이 국제표준에 반영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은 원형 코일, 이스라엘은 더블디(DD)형 코일 방식을 제안했다.
우리나라는 전기차 무선 충전의 또 다른 혁신기술인 주행 중 충전 분야에서 국제표준안 2종을 제안, 이 분야 국제표준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표준안은 주행 중 무선 충전 상호운용성 및 안전성과 주행 중 무선 충전 통신 요구사항 등이다.
국표원은 7월에도 전기차 무선 충전 국제표준화회의를 개최해 우리가 제안한 주행 중 무선 충전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정부, 전기차 주행 중 무선충전기술 표준화 주도2019.06.24
- 월드 랠리서 만난 현대차 vs 토요타…"여기선 빠른 제조사가 1위"2024.11.22
- 윤명진 네오플 대표 "던파 페스티벌 허위 폭발물 신고...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2024.11.23
- "실시간 컨콜까지 가능해졌다"…퍼플렉시티 움직임에 구글 '사면초가'2024.11.23
주행 중 무선 충전은 고정 노선을 순환 운행하는 버스 등에 우선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행 중에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전기차 보급 확산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정차 중 고출력 충전, 주행 중 충전 등의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전기차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게 됐다”면서 “전기차 무선 충전 인프라에 대한 자동차 관련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국제표준을 선점해 우리 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