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윙 돌리는 힌지는 뜨거운 아이스 아메리카노 같았죠"

[인터뷰] LG전자 MC 상품기획 김대호, 기구개발실 정민용 선임

홈&모바일입력 :2020/10/16 10:44    수정: 2020/10/18 10:00

(좌) LG MC사업본부 상품기획 김대호 선임, 기구개발실 정민용 선임.
(좌) LG MC사업본부 상품기획 김대호 선임, 기구개발실 정민용 선임.

"회전 힌지를 주문한 건 마치 '뜨거운 아이스 아메리카노 주세요'와 같은 느낌이었죠. 레퍼런스가 전혀 없는 완전히 새로운 폼팩터였으니까요."

'LG윙'의 기구개발을 담당했던 정민용 선임은 제품을 개발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으로 '힌지'를 꼽았다. 마치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주문하면서, 뜨겁게 달라고 하는 것과 같은 어려움을 느꼈다고 했다. 차가우면서도 뜨거운, 새로운 기능은 넣지만 두께는 얇은.

'LG윙'은 지난 6일 국내 처음 출시됐다. 15일(현지시간)에는 미국에 출시된다. 전에 없던 새로운 폼팩터 'LG윙'을 만든 이들의 숨은 고민과 뒷얘기를 최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만나 들어봤다.


LG전자의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LG윙'은 메인 스크린이 회전되는 새로운 폼팩터를 갖춘 스마트폰이다. 6.8인치 메인 디스플레이를 왼쪽으로 90도 회전시키면, 3.9인치 세컨드 스크린이 나타난다. 기존 일반 '바(Bar)'타입의 스마트폰으로 쓰다가, 멀티 태스킹을 하고 싶을 때는 위에 있는 메인 스크린을 회전 시켜 세컨드 스크린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스마트폰은 'T'자 모양으로 마치 날개가 펼쳐진 것 같은 모양이 되는데, LG윙 이름은 이런 모양에 착안해 채택됐다.

MC사업본부 상품기획담당 김대호 선임은 "폰을 스위블 했을 때, 폰이 펼쳐지면서 마치 날개를 편 것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제품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해 네이밍을 결정했다"며 "처음 개발 프로젝트 이름 자체도 윙이어서 내부에서는 해당 이름이 익숙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LG윙. (사진=LG윙 공개행사 유튜브 영상 갈무리)

LG윙을 기획한 건 1년 5개월 전부터였다. 김 선임은 "작년 5월부터 새로운 경험을 줄 수 있는 제품 프로젝트를 해보자고 했고, 윙은 그 새로운 프로젝트인 '익스플로러 프로젝트'의 첫 번째 제품이 됐다"고 말했다.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는 획일화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사용성으로 새로운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LG전자의 새로운 스마트폰 라인업이다. LG전자는 새로운 모바일 경험으로 '온전한 대화면 경험'을 택했다. 김 선임은 온전한 대화면을 즐기고 싶어 하는 니즈는 피할 수 없는 트렌드라고 봤다. 

요즘은 스마트폰을 동영상 볼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더라고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전 세대에 걸쳐서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등 각종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죠. 윙은 동영상이 하나의 커다란 트렌드라고 봤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작된 제품입니다.

온전한 대화면 경험을 위해 LG전자는 화면을 돌리고, 카메라를 숨겼다. 이를 위해 회전 힌지와 팝업 카메라를 사용했다. 새로운 시도였고, 도전이었다.

기존에 봐왔던 스마트폰과는 다르기 때문에 윙이 어떤지는 실제로 써봐야 알 수 있어요. 그런데 윙을 소비자들이 직접 써볼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전에 윙을 이미지로서만 접한 소비자들이 윙을 어색해할 수 있다는 점, 새로운 폼팩터를 설득시키는 데 시간차가 있다는 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이 우려가 됐죠.

하지만 포기할 순 없었다. 김 선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을 크게 보고 싶다는 니즈는 여전하고, 이를 만족할 수 있는 폼팩터가 손에 쥐어진다면 사람들이 훨씬 동영상 라이프에 몰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동영상을 보면서 다른 일을 동시에 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영상을 작게 보거나 팝업으로 띄워놓는 경우를 보고 이 부분을 해결해주면 고객들의 경험이 확실히 달라질 것이라고 봤다"고 말했다.

LG윙은 이를 위해 두 가지 경험을 모두 가져갔다. 바로 기존 바 타입의 스마트폰 사용성과 새로운 스위블 모드의 사용성이다. 김 선임은 "자신 있었던 부분은 기존 스마트폰에서 쓰던 경험을 그대로 쓸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영상을 보면서 멀티태스킹을 하거나 새로운 기능으로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며 "윙의 이런 부분들에 대해 여러 내외부 검증을 거치면서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윙은 평상시에는 바(Bar) 타입으로 쓰다가, 멀티태스킹을 하고 싶을 때는 메인 스크린을 회전해 보조스크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제품 기획이 끝나면, 이제 남은 건 실현이다. 상품기획과 기구개발팀 사이의 줄다리기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상품기획자는 제품에 어떻게든 최고의 성능과 기능을 넣고 싶으니까 계속 '무게를 최대한 가볍게 해달라', '두께를 최대한 줄여달라' 이런 요구들을 하고, 개발자는 제품이 안정적으로 문제없게 사용 가능해야 하니까 어떤 부분까지는 어렵고, 그런 부분들이 존재했죠.

김 선임이 계속 "조금 더 안 될까요?"하고 물어보면, 정 선임은 '이건 뜨거운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달라는 느낌인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피할 수 없는 과정이었다. 최고의 스펙을 넣고 싶어 하는 자와 최고의 안전성을 구현하고 싶어 하는 자의 치열한 핑퐁이 바로 제품의 완성도를 결정했다.

기획과 개발이 부딪힐 땐, 어떻게 헤쳐나가냐고 묻자 정 선임의 대답은 간단했다. "어떻게든 해야죠. 계속해보는 거죠."

그 결과, LG윙은 스크린 두 개가 붙어있는 형태였지만 복합경량 소재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구멍을 뚫어 무게를 줄이는 타공 기법을 적용해 처음 300g 이상이었던 무게를 260g까지 줄일 수 있었다.

가장 '뜨거운 아아(아이스 아메리카노)'로 느껴졌던 부분은 뭐였을까.

정 선임은 '힌지'를 꼽았다. 힌지야말로 윙을 완성시키는 요소였다. 메인 스크린이 견고하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모바일용 초소형 힌지를 자체 개발했다.

레퍼런스가 전혀 없는 새로운 폼팩터기 때문에 제로베이스부터 설계해야 하는 입장이었어요. 초기 기획단계부터 힌지 사용성, 견고함, 신뢰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개발하다 보니 어려운 부분이 많았죠.

LG윙 후면 기술. (사진=LG전자)

정 선임은 세계 최초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힌지를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세 가지 방식은 ▲유압식 댐퍼 ▲듀얼스프링 ▲듀얼락이었다.

윙의 메인 스크린을 회전시키면, 스크린이 한 번에 끝까지 다 올라가지 않고 마지막 올라가는 부분은 천천히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정 선임은 "화면 회전 시 충격을 줄여 고장이 나지 않도록 힌지 내부에 유압식 댐퍼 기술을 적용해 천천히 돌아가게 했고 고급감을 줬다"며 "또 여러 번 회전을 반복해도 괜찮도록  스프링을 두 개를 넣어서 힘을 분산시키고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했으며, 화면을 회전시키고 난 다음 회전 부분이 헐거워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락킹 기능을 두 개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스위블 동작을 20만회 이상 반복 테스트해보며 내구성을 확인했다.

화면을 회전할 때, 이와 맞물리는 세컨드 스크린의 내구성 문제는 어떻게 해결했을까.

정 선임은 "개발 단계에서도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부분도 바로 그 부분"이라며 "가장 크게 봤던 건 소비자가 폰을 떨어뜨렸을 때 스크린이 깨지거나, 스윙했을 때 스크린이 긁히면 어떡해야 하나라는 고민이 많았다"고 회상했다.

이를 위해 세컨드 스크린 주변을 윤활성이 좋은 POM(Poly-Oxy-Methylene) 소재로 특수 처리해, 회전할 때 견고성을 유지했다. 정 선임은 "돌기가 구간별로 있는데, 이를 높이 튜닝하면서 세컨드 스크린에 스크래치가 나지 않도록 했다"며 "검은색 베젤과 똑같은 색상으로 맞춰서 사용자들 눈에는 잘 안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윙을 회전시키면 세컨드 스크린이 테두리 안으로 조금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LG윙은 메인 스크린으로 영상을 보면서 , 세컨드 스크린으로는 웹 서핑을 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윙의 세컨드 스크린은 3.9인치로, 메인 스크린의 절반 수준이다. 세컨드 스크린의 크기는 어떻게 결정된 걸까.

정 선임은 "초기에는 메인 스크린을 돌리고 나서 위로 올려 세컨드 스크린을 조금 더 크게 만드는 컨셉도 생각했었다"며 "하지만 그렇게 되면 힌지가 너무 커지고, 세트 사이즈 자체가 소비자가 쓰기에는 불편할 것 같아서 덜어냈으며, 실제 메인보드 기능을 설정하고 4천mAh 배터리를 넣으면서 구현할 수 있는 사이즈 내에서 세컨드 스크린 사이즈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처음 윙의 컨셉이 공개됐을 때, 과연 메인 스크린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큼 회전 될 것인가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여러 추측을 뒤로하고, 베일을 벗은 윙은 메인 스크린이 왼쪽 방향으로만 회전됐다. 이를 두고 왼손잡이에게는 부적합한 폼팩터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 선임은 "처음에 컨셉 기획을 할 때 연구소랑 이와 관련해 논의를 굉장히 많이 했다"며 "오른손잡이인데 왼손으로 폰을 잡고 쓰는 사람도 많고, 왼손잡이인데 오른손으로 잡고 쓰는 사람도 많아 고객 조사를 해보니 오른손으로 잡고 돌린다는 고객 응답이 훨씬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양쪽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돌리는 방향이 두 군데다 보면 복잡성도 늘어나고 무게와 두께도 늘어난다"며 "고객들이 더 편하게 잡고 쓸 수 있는 디자인을 크게 해치지 않는 것에 더 중점을 뒀으며, 왼손잡이분들도 금방 익숙해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LG윙 팝업 카메라.

윙은 국내 제조사로는 처음으로 스마트폰에 내장 팝업 카메라를 탑재했다. 팝업 카메라는 스마트폰 안에 들어가 있다가 전면 카메라를 실행시키면 위로 올라온다.

김 선임은 "윙이 고객에게 주려고 하는 가장 큰 경험 중 하나가 동영상을 시원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며 "화면에 노치나 홀이 없어야 되는 게 이 모델에서 제일 중점적으로 생각한 부분이어서 카메라가 숨겨지는 팝업 카메라를 택했다"고 말했다.

김 선임은 "팝업 카메라가 어떻게 보면 굉장히 구동부가 많은 제품이긴 하지만, 의외로 매력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며 "윙의 특징이 없던 게 하나씩 보이는 제품이다 보니, 화면이 하나 없던 게 나타나는 것처럼 카메라도 역시 숨어있다 나오는 경험을 일관되게 전달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 선임은 "내장 카메라를 감싸는 하우징, 팝업시키게 하는 모터 등 여러 부품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기존보다 더 많이 필요했다"며 "작은 공간에 추가된 부품을 넣는 게 어려웠고 또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을 고려하면서 설계해야 했기 때문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여러 부품들의 위치를 잘 잡으면서 설계를 마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폼팩터가 달라지면, 달라진 폼팩터에 따른 소프트웨어 최적화도 뒤따라야 하는 부분이다. 윙의 폼팩터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가 많을수록, 제품의 매력이 빛날 수 있다.

이에 LG전자는 퀄컴, 네이버 웨일, 레이브, 픽토, 투비, 픽토 등 플랫폼 파트너와 협업해 세컨드 스크린을 활용한 실시간 채팅, 영상 추천 및 검색 등을 가능하게 했다.

LG전자는 향후 국내외 다양한 플랫폼 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확대해, 사용자에게 LG 윙의 두 디스플레이를 모두 활용한 확장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LG윙. (사진=LG전자)

올해 LG전자는 상반기에 내놓은 'LG벨벳'부터 하반기 'LG윙'까지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보여줬다. LG벨벳은 디자인으로, LG윙은 폼팩터로 차별화를 꾀했다. 기존 듀얼스크린을 통해 가져온 멀티스크린 전략 또한 이번 LG윙으로 또 한 번 강화했다.

관련기사

김 선임은 "듀얼스크린은 액세서리 타입으로 기존 스마트폰과 똑같은 사이즈를 통해 마치 노트북을 쓸 때 모니터를 한 대 더 두고 쓰는 것과 같은 환경을 줬다면, 이번 윙은 완전히 동영상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무언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보조스크린을 준 것"이라며 "듀얼스크린의 진화가 윙이라기보다는 멀티스크린의 방법에 윙도 있고 듀얼스크린도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각각의 방식이 줄 수 있는 밸류가 다르고, 장점이 다르다"며 "멀티스크린을 지향하면서, 이에 대한 사용자 밸류를 어떻게 줄 것인지 계속 고민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