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원장 임춘택)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에너지기술개발(R&D) 사업의 ‘온라인 메타순환평가’를 확대·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에기평은 전담기관으로는 처음으로 2018년 ‘온라인 메타순환평가’를 도입, 개념평가에 적용해왔다. 개념평가는 신규과제 선정평가 단계 가운데 사업계획서 본평가 이전에 실시하는 평가다. 동일 주제 접수자가 3배수를 넘었을 때 개념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에기평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지속되고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연장됨에 따라 올해 모든 신규과제 선정평가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에기평은 신규과제 평가를 온라인 비대면 평가로 실시한다. 총 정부출연금 규모에 따라 온라인 서면평가와 혼합평가(온라인 서면평가 + 화상회의)로 구분해 진행한다.
본 평가 이전, 온라인 서면평가는 1차 검토(심층검토자료, 사업계획서 등)와 2차 검토(발표 동영상 등)로 진행한다. 각 검토마다 평가위원과 수행(신청)기관의 질의답변이 온라인으로 전달된다.
총 정부출연금 200억원 이상인 대형과제는 온라인 서면평가에 화상회의를 접목한 혼합평가를 실시한다. 혼합평가도 1, 2차 검토로 이뤄진다. 2차 검토는 화상회의를 추가 진행해 평가위원과 수행(신청)기관 간 질의답변을 실시간으로 한다.
평가위원을 익명으로 처리해 평가 모든 과정을 블라인드화 하는 등 온라인 비대면 평가의 장점을 살리는 제도도 마련했다.
단독응모와 대형과제는 ‘심층검토제’를, 안전관리가 필요한 과제는 안전전문가 ‘전담검토제’를 실시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전검토 절차를 강화해 평가 전문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평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들 간 메타순환평가(주관기관→전담기관→평가위원장→평가위원→주관기관)를 실시한다.
‘메타’란 평가를 평가한다는 의미다. 지금까지는 평가위원만 평가를 했지만, 이제는 평가위원도 평가를 받고 발표자(주관기관)도 에기평(전담기관)을 평가한다.
관련기사
- 에기평, 올해 에너지기술개발에 8151억원 투자2020.04.14
- 에기평, 강원 산불 피해 성금·생활용품 기부2020.04.14
- AI 분야 1조8천억원 추경...연내 GPU 1만장 신규 도입2025.04.18
- "챗GPT 만든 논문, 21세기 최다 인용"…AI는 어떻게 과학계 지배했나2025.04.17
평가자, 피평가자, 관리기관이 상호 평가해 해당 평가가 얼마나 전문적이고 공정하게 이뤄졌는지 견제한다.
임춘택 에기평 원장은 “수행(신청)기관의 연구역량으로만 오롯이 평가받을 수 있도록 공정한 평가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온라인메타순환평가시스템은 1억원 상당을 투입하여 세계 최초로 개발한 에기평의 발명품”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