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올해 친환경보일러 35만대 분을 설치지원한다. 저소득층은 대당 보조금 50만원을, 일반 가구는 20만원씩 지원한다.
친환경 보일러 보급 지원 사업은 가정용 보일러를 친환경 보일러로 교체하거나 새로 설치할 때 일부 비용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올해 사업예산 510억원(국비 60%)을 활용해 일반 가구 30만대, 저소득층 5만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친환경 보일러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보일러로 초미세먼지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 배출이 일반 보일러의 8분의 1 수준(20?)이며 연료비도 연간 13만원 절감된다.
보조금을 받으려면 직접 또는 보일러 설치 대리점을 통해 관할 지자체에 신청하면 된다.
3일에는 ‘대기권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대기관리권역에서 가정용 보일러 인증이 의무화됐다. 대기관리권역은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 기여율과 배출량 기준으로 80% 이상에 해당하는 지역(8개 특별·광역시와 69개 시군)으로 기존 수도권 외에 중부권, 남부권, 동남권이 추가 지정됐다.
권역 내에서는 원칙적으로 환경산업기술원의 1종 인증을 받은 보일러만 제고·공급·판매되며 배수구 확보 등이 어려워 1종 보일러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 한해 2종 인증을 받은 보일러를 설치할 수 있다.
관련기사
- 환경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총력2020.04.08
- 가스공사, 취약계층에 보일러 교체비 지원한다2020.04.08
- LG전자, 1분기 매출 22조원 첫 돌파 '역대 최대'2025.04.07
- 통신 3사 1분기 합산 영업익 1.5조 넘는다2025.04.06

한편,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8일 생활부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친환경 보일러 보급 지원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1천408세대 전체가 친환경 보일러로 교체하는 경기도 구리시 인창 4단지 주공아파트를 방문했다.
조 장관은 “대도시에서 냉난방 등 생활부문은 미세먼지 배출량 2~3위를 다투는 핵심 배출원”이라며 “친환경 보일러 인증 의무화와 지원사업을 병행해 생활 부문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