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작년 영업손실 1조3566억원…11년 만에 최대

2년연속 적자 지속…손실 폭은 더 커져

디지털경제입력 :2020/02/28 13:02    수정: 2020/02/28 23:07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1조원대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2008년 이후 11년 만에 최대 손실로, 6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지난해보다도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됐다.

한국전력(대표 김종갑)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59조928억원, 영업손실이 1조3천56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조5천348억원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조1천486억원 줄어든 것이다.

한전은 이 같은 영업손실의 주요 원인을 ▲냉난방 전력수요 감소 등에 따른 전기판매수익 하락 ▲무상할당량 축소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비용 급증 ▲설비투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한 감가상각비·수선유지비 증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비용 증가 등으로 꼽았다.

다만, 한전 관계자는 "지난해 당사와 발전자회사를 비롯한 전력그룹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여건에 대응해 적극적인 자구노력을 시행했다"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지장이 없는 범위내 설비보수 자체수행, 송·배전 설비시공 기준개선 등 2조1천억원 규모의 재무개선 목표도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사진=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의 지난해 영업 실적. (자료=한전)

■ 냉난방 수요 줄고, 석탄이용률 하락이 컸다

지난 2018년 여름·겨울철 혹한과 혹서 때와 비교해 지난해 상대적으로 냉난방 수요가 크게 줄었다는 게 한전 측 주장이다. 또 마찬가지로 지난 2018년 평창올림픽 개최 등의 기저효과 등으로 전기판매수익이 전년 보다 9천억원(1.1%) 감소했다는 것이다.

반면, 연료비는 국제유가 하락과 원전이용률 상승으로 전년 대비 1조8천억원 감소했다. 전력수요 감소영향에 더해 원전이용률도 계획예방정비가 순차적 마무리 돼 전년 대비 4.7%포인트(p) 상승했고, 액화천연가스(LNG) 세제 개편 효과 등에 따라 연료비가 줄었다는 설명이다.

그 대신,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에 따른 석탄이용률 하락이 영업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석탄화력발전소의 상한제약을 확대하고, 노후발전소 가동중지에 들어갔다.

또 전력산업 운영을 위한 필수비용인 온실가스 배출권비용과 감가상각비 등은 전년 대비 2조원 증가했다. 발전사 온실가스 배출권비용은 석탄발전 감축 등에 따라 총 배출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무상할당량 축소와 배출권 가격 상승으로 7천억원 증가했다.

(자료=한국전력공사)

■ 원전이용률은 상승세…"실적 개선에 좋은 신호"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전력설비 투자로 인해 감가상각비와 수선유지비는 전년 대비 6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8월 준공된 신고리원전 4호기 등 발전부문 상각비가 2천억원 증가했고, 154킬로볼트(kV) 김제-부안 T/L 건설 등 선로 신·증설 등에 따른 송배전부문 상각비는 3천억원 늘었다.

안전진단·예방정비 활동 강화 등 수선비도 1천억원 늘었다. 인원증가 등에 따라 2천억원, 퇴직급여부채를 최근 대법원 판례 등에 따른 방식으로 추정함에 따라 3천억원의 비용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과 원전해체비용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원전관련 복구부채 설정비용 2천억원도 작년 영업손실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한전은 "올해는 전년대비 원전이용률 상승(70% 중반대) 등이 경영실적 개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환율과 국제연료가격 변동 등 대내외 경영여건 변화를 지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사는 전력그룹사 간 협력강화와 경영효율화 등 고강도 자구노력을 통해 실적개선과 재무건전성 강화에 만전을 다할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요금체계 마련을 위해 합리적 제도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