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의 결합체로 주목받는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를 위한 첫 단계를 통과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30일 밝혔다.
두 부처는 조선·해운산업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에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총 1천603억원을 투입한다. 두 부처는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인 운항자율과 시스템자율 기술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실증을 거쳐 조기 상용화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목표는 국제해사기구(IMO) 레벨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 개발이다. 레벨3는 최소인원이 승선해 원격제어와 장애 예측·진단 등 기관 자동화하는 부분 자율 단계로 완전무인 자율운항하는 레벨4 이전 단계다.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은 미래 선박시장 및 해운항만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첫 단계로 ▲지능형 항해시스템 ▲기관 자동화시스템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및 실증 ▲운용기술 및 표준화 기술개발 등 4개 분야 13개 세부과제가 포함됐다.
우선 자율항해, 기관실 제어 통합 플랫폼, 충돌·사고방지, 상황인식, 의사결정 능력을 갖춘 지능형 항해시스템을 개발한다. 또 기관 스스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고장을 예측·진단할 수 있는 기관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의 검·인증 및 실증을 위해 울산 고늘지구에 1천200㎡ 규모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를 구축해 지속적으로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계획이다.
원격관리, 안전운항, 사고대응 등 자율운항선박 운용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이 국제 표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개발 초기부터 IMO, 국제표준화기구(ISO) 등의 표준화 활동과 연계해 추진한다.
산업부는 자율운항선박을 도입하면 해운기업은 최적운항경로 탐색, 인적 과실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운항 선박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선업계는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되는 2025년 세계 선박 및 관련기자재 시장 규모가 1천5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부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관련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경쟁력을 확보하면 2030년께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50%까지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 동서발전, 조선기자재 업체 활용 선박 탈황설비 구축2019.10.30
- 펜타시큐리티, 선박 보안 솔루션 개발한다2019.10.30
- 현대重 한영석·가삼현 "올해 선박 수주 목표 달성…손익개선 과제"2019.10.30
- 美자회사 상장 놓고 충돌…LS "최선의 선택" vs 소액주주 "다른 방법 찾으라"2025.11.20
산업부와 해수부는 자율운항선박 개발과 운용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선박을 통해 실증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노르웨이 등과 기술개발부터 인증, 테스트, 국제표준 제정 등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로 지난 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자율운항선박, 지능화·자동화 항만 및 스마트 해상통신 간 연계를 위한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 전략’이 탄력을 받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