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로 긴급구조 골든타임 줄인다

다부처 협력 사업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 추진

방송/통신입력 :2019/01/20 12:00    수정: 2019/01/20 12:29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찰청, 소방청과 범죄 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부처 협력 사업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을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과기정통부, 경찰청, 소방청은 범죄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와 직결되는 정밀 측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해에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 사업으로 기획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4년간 총 201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해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50m 이하로 위치측정 오차 범위를 줄인다. 또한 ▲알뜰폰, 자급제폰, 키즈폰, 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해 긴급구조 측위 사각시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경찰청은 ▲전국 단위의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해 과기정통부에 제공하고 ▲현장에서 LTE 신호세기 및 시간지연정보로 거리를 측정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112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소방청은 ▲화재 등으로 재난현장 건물 내 와이파이, 비콘 등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 단말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소방대원과 실내 요구조자의 측위 정보를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119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다부처 간 원활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R&D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의 주요 사항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민, 경찰, 소방관 등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현장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 방식으로 추진해 연구 성과물의 완성도를 높여 활용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라며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과제 공모기간은 2월20일까지다. 과제내용과 접수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 경찰청, 소방청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