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오는 14일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의 회계 논란 최종 심의를 앞두고 주가가 급락했다.
12일 오후 3시 30분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 종가는 28만5천500원을 기록했다. 전 거래일 36만8천원 대비 22.42%(8만2천500원) 떨어졌다.
오후 3시 13분엔 23.10% 하락한 28만3천원을 기록하며 28만원 초반대로 내려앉기도 했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선위가 지난 11일 특별한 일이 없다면 오는 14일 정례회의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논란 심의 결론을 낼 것이란 입장을 밝히면서 주가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7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정황을 주장하며 공개한 ‘2015년 바이오젠 콜옵션 평가이슈 대응 관련 회사 내부문건’도 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 일자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로고가 찍혀있는 해당 문건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사에 대해 자체 평가한 가치 3조원과 시장평가액 8조원 간 괴리로 시장서 발생할 수 있는 주가 하락,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간) 합병비율 적정성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안진회계법인과 인터뷰한다는 등 내용이 적혀있다.
증선위가 심의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논란의 골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삼성바이오에피스를 2012~2014년 연결 종속회사(자회사)로 분류한 회계처리 ▲2015년 자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한 회계처리 등에 대한 타당성이다.
관련기사
- 박용진 의원, 삼성바이오 문건 공개 “분식보고서 국민연금에 제출”2018.11.12
-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젠과 콜옵션 자산양수도 종결2018.11.12
- 증선위, ‘회계 부정’ 중징계 받은 삼성바이오 재심의2018.11.12
- 국민연금 “삼성바이오 가치평가에 미숙한 점 있었다”2018.11.12
삼성바이오로직스를 감리한 금융감독원은 바이오젠과 합작 투자해 2012년 설립한 삼성바이오에피스와의 관계를 처음부터 관계회사로 봐야 한다고 지적하며 분식회계와 중징계를 주장하고 있다. 두 회사 간 지배력 변화가 없음에도 고의적으로 회계처리를 바꿨다는 것이다.
증선위가 최종심의에서 고의 분식회계로 판단하고 검찰 조사 조치를 내리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 거래는 정지되고 상장폐지 실질 심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 현행 거래소 규정에 따르면 회계처리 위반 금액이 자기자본의 2.5%를 초과하면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