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에서 생체분자가 '안정'하는 이유 발견

UNIST 연구팀, 적외선 관찰 성공

과학입력 :2018/10/22 10:09

국내 연구팀이 단백질, 핵산 등 생체 분자들이 물 속에서도 안정된 구조를 이루는 이유를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영삼 자연과학부 교수팀이 분자와 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매우 빠른 움직임을 실험적으로 관측하고, 이 움직임 때문에 단백질 등 분자들이 수용액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2일 밝혔다.

물(H₂O)은 수소(H)와 산소(O)가 결합해 이뤄진 물질이다. 기본적으로 두 원자는 전자를 공유하는 ‘공유결합’으로 뭉쳐지지만, 약한 양성(+)을 띠는 수소가 다른 물 분자의 산소(-)에 달라붙는 ‘수소결합’도 나타난다. 수소결합은 공유결합보다 에너지는 약하지만, 끊임없이 나타났다 사라지며 물의 특성을 결정한다.

물 속에 다른 물질이 들어오면 수소결합 때문에 구조나 성질이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우리 몸을 이루는 단백질이나 핵산 같은 생체분자들은 물속에서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존재한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비공유 상호작용이라고 추정해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엔-파이스타 상호작용’이다.

JPC 레터스 표지: 수소결합 구조(왼쪽)와 엔-파이스타 상호작용으로 인한 시스 구조(오른쪽)는 물 속에서 서로의 구조를 교환한다. 물의 양이 많을수록 수소결합 구조가 많아지고, 두 구조의 교환 속도는 빨라진다. 이런 현상은 물속에서 단백질 같은 분자들이 안정하게 존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엔-파이스타 상호작용도 수소결합처럼 전자를 공유하지 않으면서 원자들을 결합시킨다. 결정 상태의 단백질 구조에서 많이 관찰할 수 있는 이 현상이 물속에서도 나타나는지 입증한 실험은 없었다.

연구팀은 엔-파이스타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페닐 포메이트(PF) 분자’를 물과 다른 용매에 녹이면서 이차원 적외선 분광법(2D IR)로 관찰했다. 물 함량을 조절하면서 수소결합 변화도 함께 살폈다. 그 결과 PF 분자에서 엔-파이스타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시스 구조와 수소결합 구조가 1조분의 1초 단위로 계속 교환됐다. 물이 많아질수록 수소결합 구조의 비율이 늘어났고, 두 구조가 서로 바뀌는 속도도 빨라졌다.

김영삼 교수는 “물을 매개로 하는 두 구조 사이의 매우 빠른 교환이 단백질을 비롯한 생체분자의 구조를 더 안정하게 만든다”며 “물과 대상 분자의 수소결합이 끊어졌다 연결되기를 반복하면서 무질서도가 증가하고, 약한 에너지를 가진 엔-파이스타 상호작용도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어 “높은 에너지를 가진 다른 빛들은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생체분자나 수용액 속 분자가 실제로 활동하는 모습을 보기 힘들다”며 “관측 도구의 영향으로 죽어버린 분자가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분자를 보는 기술이 2D IR”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수분이 많은 우리 몸에서 단백질이 안정한 구조로 존재하는 증거를 잡아낸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물리화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저널 오브 피지컬 케미스트리 레터’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