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유료호출 목적지 비공개 철회...왜?

“기사 경험 활성화”...13일 운행완료 역대 2위

인터넷입력 :2018/04/16 10:48    수정: 2018/04/16 10:49

카카오가 카카오택시 유료호출 서비스인 ‘스마트호출’에 콜 성사 전 목적지 비공개 정책을 서비스 사흘 만에 철회했다.

택시기사 이용률이 기대 수준을 밑돌자 서비스 활성화 차원에서 호출 수락 전 승객이 설정한 목적지가 공개되도록 바꾼 것이다.

카카오 자회사인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0일 한 콜당 1천원의 비용이 드는 유료호출 서비스인 스마트호출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택시 스마트호출은 카카오의 방대한 택시 운행 기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택시를 더 빠르게 호출하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승객으로부터 이용료를 받은 뒤 이 중 600원 정도를 택시 기사들에게 포인트로 지급한다. 택시 기사는 1만원 이상 쌓였을 때 이를 현금화 할 수 있다.

그런데 더 효율적인 택시 호출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던 것과 달리, 서비스 초반 카카오택시 스마트호출 이용률은 낮게 나타났다. 택시 기사에게 배당되는 수익이 낮은 데다, 목적지까지 표시되지 않아 택시 기사들이 스마트호출을 외면한 결과다.

이에 카카오는 지난 13일 택시 기사들이 승객의 목적지를 보여줌으로써 이용 활성화를 꾀하는 전략을 택했다. 골라 태우기에 대한 비판이 일 수 있지만, 일단 서비스 안착에 초점을 둔 결정으로 풀이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택시 기사들에게 스마트호출 경험 확대 차원에서 목적지가 표시되도록 했다”면서 “이 같은 정책은 서비스 이용 추이에 따라 추후 또 변경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호출이 살아나면서 지난 13일 카카오택시 운행완료 기록은 역대 2위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정주환 카카오택시 대표는 15일 자신의 SNS에 “연말 같은 특별한 시즌도 아닌데 지난 13일 카카오택시 운행완료수가 역대 2위라는 높은 숫자를 기록했다”며 “각각의 호출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카카오택시라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성이 개선돼 더 많은 운행완료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속 증가하는 수요에 대해 스마트호출 기능과 같은 어떤 한가지로 한 번에 해결될 수 없겠지만 긴 호흡으로 카카오T로의 변화, 스마트 호출 기능, 기사 포인트 제도 등 한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면서 “(스마트호출은) 길에서 발을 동동 구르는 어떤 분들이 집에 갈 수 있겠다는 마음에서 시작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