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국은 피했다"...현대차 노사, 임금협상 2차 잠정합의

기본급 7만2천원 인상 등...14일 찬반투표 예정

카테크입력 :2016/10/12 23:48    수정: 2016/10/13 07:27

정기수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난항 끝에 올해 임금협상 2차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지난 8월 26일 1차 잠정안이 부결된 이후 48일 만이다. 당시 조합원들은 예년보다 낮았던 임금인상 폭에 불만을 나타내며 80%에 육박하는 반대표를 던졌다.

현대차 노사는 12일 오후 울산공장 본관에서 열린 제27차 교섭에서 ▲기본급 7만2천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330만원 ▲재래시장상품권 50만원 ▲주식 10주 등을 골자로 하는 2차 잠정안을 도출했다.

기본급은 지난달 27일 열린 제26차 교섭에서 사측이 내놓은 직전 제시안보다 2천원 올랐다. 1차 잠정안보다는 4천원 상승한 수준이다. 재래시장상품권도 태풍 피해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존 20만원에서 30만원 추가됐다.

2016년 현대차 노조 쟁대위 출범식(사진=현대차 노조)

교섭 중단 이후 이날 14일 만에 다시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은 노사는 파업 장기화에 따라 협력업체 및 지역경제 피해가 가중되는 현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 '파국만은 막자'는 데 의견을 모으고 합의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관계자는 "파업 장기화로 인한 피해가 회사는 물론 지역 및 국가경제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더 이상의 파국은 막아야 한다는 데 대해 노사간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1차 합의안 부결 이후 노조 파업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도 회사는 원칙을 준수하고 합리적인 수준의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정부가 파업과 관련해 '긴급조정권' 발동을 시사하면서 개입을 적극 검토하고 나선 것도 노조가 추가 파업을 결정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에는 박근혜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임금을 받는 일부 대기업 노조가 임금을 더 올려달라고 장기간 파업을 하는 것은 너무나도 이기적인 행태"라며 "파업의 피해를 중소협력업체 노사가 고스란히 떠안게 돼서 가뜩이나 힘든 협력업체는 곤궁의 나락에 떨어질 수 있고 전체 일자리는 더욱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5월 17일부터 시작된 임협 과정에서 석 달여간 총 24차례에 걸친 파업과 12차례 특근을 거부했다. 사측은 이로 인해 약 14만2천여대의 생산 차질을 빚어 3조1천여억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대차에 납품을 해야 하는 협력업체들의 손실은 더 크다. 1차 협력업체 348개사는 1조4천억원의 매출손실을 입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 5천개 이상으로 추정되는 2·3차 협력업체까지 더하면 손실액은 약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편, 2차 잠정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는 오는 14일 실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