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주식회사 C&C,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 개통

13개국 20개 도시 40개 IBM 센터 한글로 이용

컴퓨팅입력 :2016/06/15 16:57

송주영 기자

SK주식회사 C&C(대표 박정호)는 간단한 접속으로 이용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cloudZ.co.kr)’을 15일 공식 오픈하고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은 크게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고객을 위한 ‘고객 포털’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및 리셀러 사업자용 ‘파트너 포털’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지원을 담당하는 ‘테크센터(Tech Center) 등으로 구성됐다.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의 오픈과 함께 일차적으로 IBM의 세계 13개국 20개 도시의 40개 클라우드 센터를 한글로 간편하게 이용 가능해 진다.

SK주식회사 C&C가 8월에 ‘판교 클라우드 센터’를 오픈하게 되면 고객은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을 통해 자신의 사업 상황에 따라 국내(판교) 및 해외 클라우드 센터에 시스템을 분산·운영할 수 있게 된다.

SK주식회사 C&C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상품별로 분류해 주문 프로세스를 3단계(클라우드 서버상품 선택·서버명 입력·주문)로 최소화하면서도 고객의 상황에 맞는 서버서비스 수준 선택이 가능토록 했다.

SK주식회사 C&C는 특히 인기순·가격순으로 클라우드 서버 상품을 배열해 고객이 한 눈에 자신이 필요로 하는 서버를 여행 패키지 상품 고르듯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추가 옵션 사양은 선택한 서버 상품에서 추가하면 된다.

SK주식회사 C&C는 13개국 20개 도시 40개의 IBM 클라우드 센터를 한글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Z' 포털을 15일 오픈했다.

게임업체 등 고사양 그래픽 서버 선호 고객을 위해 GPU(Graphic Processing Unit) 서버 상품군도 별도로 구성했다.

기존에는 클라우드 서버 상품 선택을 위해 고사양 서버(베어메탈)일반 서버(VM), 일반 서버(VM)를 지정해 독점 사용 가능한 단독 사용 서버(Dedicated 서버) 등 서버 종류를 고르고 서버별 옵션(CPU 개수, RAM 등)을 하나하나 선택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사업자가 임의로 나눠놓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고객은 자신의 필요보다 높거나 낮은 수준의 서버 용량을 감내해야 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은 세계 어디에서든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기술 문의를 한국어로 해결할 수 있어 고객 호응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테크센터에서 SK주식회사 C&C의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기술 관련 문의를 직접 지원한다.

기업 전용 데이터 센터 서비스 수준의 클라우드 매니지드(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클라우드 인프라(서버)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장애 관리는 물론 고객의 필요에 따라 고객의 애플리케이션 별도 운영관리, 통합 보안 관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이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의 매출과 이익 성장을 보장하는 새로운 동반 성장 모델을 내놨다는 점도 주목된다. 소프트웨어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에서 솔루션 판매시, 솔루션 매출 뿐 아니라 센터 상면 임대, 서버운영체체 이용 비용 등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

기존 SI사업이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SW 기업들은 본인들이 사업 수주 혹은 서비스 유치에 기여하더라도 솔루션 매출만 거둘 수 있어 사업 성장에 어려움이 많았다.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에는 ERP(전사적 자원관리), HR(인력관리), GW(그룹웨어), DB(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웹방화벽 등 기업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입점해 있다.

SK주식회사 C&C는 산업별 고객 니즈에 맞춰 SW업체의 입점을 지속적으로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SK주식회사 C&C 신현석 클라우드Z 사업본부장은 “글로벌 시장을 포함해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고르기란 쉽지 않다” 며 “자유로운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변경 보장은 물론 국내 SW 기업에게 확실한 수익 모델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을 통한 국내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SK(주) C&C는 글로벌 사업 확장과 함께 홍콩 IBM 클라우드 서비스 센터에 사업관리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을 완료해 운영 중이다. 8월 판교 클라우드 센터 오픈 이후에는 전사 사업 현황에 따라 주요 시스템의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센터 이관을 추진한다.

또 IBM 소프트레이어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로만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을 오픈하게 됐지만, 국내 최초의 글로벌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로 수개월 내 알리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동작업을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