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수명 2배 높인 태양전지 개발

부산대 진성호 교수 연구팀…‘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표지 논문 게재

방송/통신입력 :2015/12/11 12:00

국내 연구진이 기존 태양전지보다 수명이 2배 우수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부산대 진성호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의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홀(정공) 전도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홀 전도체는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태양전지에서 (+)전하를 수송하는 물질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유기태양전지는 기존의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고, 휘어지도록 만들 수 있는 데다 최근 효율도 크게 높아져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홀 전도체는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태양전지에서 빛을 받아 형성된 전자(-) 정공(+) 결합 쌍이 분리됐을 때 정공을 전극으로 이동시켜주는 부분이다. 그러나 기존의 홀 전도체는 합성공정이 복잡하고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면 쉽게 부식돼 소자의 장기적 안정성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값이 싼 카바졸, 플로렌과 유사한 물질을 결합시켜서 물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 트라이페닐아민 유도체를 합성했으며, 그 결과 기존 상용 물질인 홀 전도체보다 수분과 산소에 훨씬 강하며 안정적인 긴 수명의 홀 전도체를 개발했다.

개발된 새로운 홀 전도체를 사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한 결과 에너지변환효율이 기존 16.6%에서 17.21% 수준으로, 유기 태양전지의 경우에도 기존 7.63%보다 우수한 7.85%의 에너지변환효율을 달성했으며 수명 측면에서도 2배 우수한 것으로 증명됐다.

연구에서 개발한 새로운 홀전도체는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태양전지의 난제였던 부식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소자의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또한 새로운 홀 전도체는 기존의 상용 홀 전도체 생산단가의 20% 수준으로 향상된 효율의 차세대 태양전지를 양산할 수 있어 경제적 파급효과도 예상된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차세대 태양전지의 홀 전도체 개발을 위한 연구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을 통해 수행했으며, 연구결과는 재료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지 온라인 판 11월30일 자에 내부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