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독일에서 인더스트리 4.0 관련 논의가 강하게 일고 있는 가운데, 국내서도 스마트 팩토리 추진을 위한 각계 의견을 수렴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한국ICT네트워크는 지난28일 오후 학계, 정부연구소, 민간 전문가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추진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국내에서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추진 시 독일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는 명령과 통제가 아니라 권한이 분산되어 개별적인 사물이 자율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움직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공장은 프로세스 모듈로 구성되고 소비자 요구에 맞춰 프로세스 모듈이 스스로 조합되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과 다른 유연한 생산이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한국ICT네트워크에 따르면 독일은 10년전인 2005년부터 인더스트리 4.0,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반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 준비를 시작했고 2035년까지 내다보면서 단계별로 육성 정책을 추진중이다.
독일 정부는 2011년 2억유로(약 2천400억원)를 인더스트리4.0/미래형 스마트 공장 R&D에 투입하기로 했고, 민간에서 제안된 인더스트리 4.0 사업이 정부에서 수용돼 민관은 물론 독일연방산업부(BMWi)와 독일연방교과부(BMBF) 등 정부 부처 간에도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국ICT네트워크는 전했다.
한국ICT네트워크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세계 제조업 규모에서 중국은 2조7천410억달러, 미국은 2조290억달러, 독일은 7천450억달러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토론회에서는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를 피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더스트리 4.0/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 지금 보다 훨씬 더 많은 R&D 자금이 투입돼 다양한 연구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구체적인 추진 방안으로는 우선 명확한 목표 정립과 비전 공유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됐다. 기술뿐만 아니라 인사/조직, 환경 등 기술 이외 업무도 중요하므로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과 관련해 해야 할 일을 모두 도출하고 필요한 일들을 단계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인더스트리 4.0은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만이 아닌 백그라운드와 철학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적인 차원의 운동과 함께 해야 하므로 단순히 일개 부처 차원의 업무로 봐서는 안된다는 점도 비중있게 다뤄졌다. 국내에서도 산업부(BMWi)와 교과부(BMBF)가 긴밀하게 협력하는 독일과 유사하게 기본적으로 부처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부분적으로는 약간의 경쟁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관련기사
- 삼성, 中企에 '스마트 팩토리' DNA 전파2015.04.30
- 한국형 스마트 팩토리 전략 논의 장 열린다2015.04.30
- 젠슨 황 "HBM4 더 빨리 달라"…최태원 "6개월 당겨 공급"2024.11.04
- "처방은 의사 판단"이라지만...위고비 비대면 처방, 오남용 부채질 비판2024.11.04
한국ICT네트워크는 굳이 부처 간에 업무가 분장되어 추진되어야 한다면 미래부는 미래 지향적인 일, 예를 들면 미래형 스마트 공장의 시범 사업 등과 같은 업무 수행이 바람직하고 산업부는 시범 사업이 완료된 이후에 성공 사례를 보급·확산에 주력하는 것이 타당하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전했다. 또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R&D에서 R과 D를 구분하여 R(esearch)/연구는 미래부에서 D(evelopment)/개발은 산업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도 나왔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 생태계 간 경쟁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도 중요한 요소로 거론됐다. 산업부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을 통한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