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게 됐다. 황사 경보가 내려졌다는 뉴스를 보지 않아도, 스마트폰 위치를 중심으로 공기오염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셈이다.
실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KAIST는 24일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팀이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탑재 가능한 초소형, 초절전 공기오염 측정 센서의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3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각종 공기오염 물질이 증가하고 사람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의 주변 공기오염도에 대한 측정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기존의 공기오염 측정 센서는 소모 전력과 부피가 크다. 또 여러 유해가스를 동시에 측정할 때의 정확도가 낮았다.
이같은 점은 기존에 개발된 반도체 제작공정을 사용해도 해결이 쉽지 않은 난제로 남아있다. 박인규 교수팀은 수백 마이크로미터 폭의 미세유동과 초소형 가열장치로 수 마이크로미터만을 국소적으로 가열하는 극소영역 온도장 제어기술을 이용, 여러 종류의 기능성 나노소재를 하나의 전자칩에 쉽고 빠르게 집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대표적으로 공기오염 측정에 사용되는 센서 소재인 반도체성 금속산화물 나노소재 기반의 전자칩을 제작했다.
박 교수팀의 기술은 다종의 센서용 나노소재를 적은 양으로도 동시제작 할 수 있어 모바일 기기에 탑재할 초소형, 초절전 가스 센서를 만들 수 있다.
관련기사
- KAIST 이상엽 교수, 셀시스템즈 창간 편집위원 선임2015.02.24
- KAIST 신임 감사에 김학민 재료연구소 전문위원2015.02.24
- ‘KAIST 자랑스런 동문상’에 최문기 전 장관 등 4명 선정2015.02.24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KAIST 조용훈 교수2015.02.24
이 기술은 고밀도 전자회로, 바이오센서, 에너지 발전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고, 특히 소형화 및 소비전력 감소에 어려움을 겪는 휴대용 가스센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박 교수는 “모바일 기기용 공기오염 센서 뿐 아니라 바이오센서, 전자소자,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융합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