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댁내 유선 전화가 없는 집이 세 가구 중 한 곳 수준으로 늘어났다.
26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유무선전화서비스 이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유선전화서비스를 가입하지 않고 있는 가구는 32.63%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KISDI 정보사회분석실 ICT통계분석센터 신지형 부연구위원이 2011∼2013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가구단위의 유선전화 서비스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 일반전화 서비스와 인터넷전화 서비스 가입 가구 비율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가구 구성별로는 1인 가구의 경우 집전화를 사용하지 않은 가구가 56.99%로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지역별 차이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세종시의 경우 10가구 중 6가구는 집전화를 보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KISDI, ICT산업연구실·정보사회분석실 신설2014.05.26
- 김도환 신임 KISDI 원장 “창조경제 정책지원 강화”2014.05.26
- "SNS, 韓 특성 맞는 '사회연결망' 고민해라"2014.05.26
- “스포츠 이벤트, 올해 지상파 매출 이끈다”2014.05.26
또한 집 전화 없이 휴대폰만 이용하는 개인은 2011년 약 17%에서 2013년 약 23%로 급증하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는 30세 전후연령대와 1인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신 부연구위원은 “통신기술의 발전과 휴대전화 보급의 대중화에 따라 가구단위 연락수단이었던 유선전화서비스의 가입률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며 “유선전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등은 가구 혹은 개인별 유선전화 보유율을 면밀히 조사해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도록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