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베 등 온라인 커뮤니티, 폐쇄 답아냐"

일반입력 :2013/08/06 13:20    수정: 2013/08/06 13:47

이유혁 기자

일간베스트, 오늘의 유머 등 일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 양극화 현상 대응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집단화가 양극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지만 커뮤니티 폐쇄는 궁극적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 6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인터넷 공간의 집단 양극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인터넷 상 일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집단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해완 KISO 정책위원장은 인터넷 상에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토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게 하지 않음으로써 인터텟이 황폐화되고 있다면서 마땅한 해결책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이 자리에서 답을 얻어 보고자 했다고 말하며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발표에 나선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는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화'라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악성글의 본질은 한국인들의 화다. 화와 분노는 집단적으로 표출됐고 이것이 집단간 대립으로 발전했다.

최 교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집단의 결집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의견의 파급력도 커졌다며 이러한 배경으로 집단적 양극화가 사회의 문제로 크게 대두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집단 양극화가 발생한 근거로 ▲청년들이 '을'로 전락하고 분노가 생길 수밖에 없도록 조성된 경쟁사회 ▲언론·미디어를 통해 보여진 공격성 콘텐츠 ▲청년세대의 소외와 사회에 대한 반발 ▲인터넷 훌리건 등을 제시했다.

최 교수는 양극화 해결 방안에 대해 일부 커뮤니티 사이트 폐쇄는 일시적인 효과는 갖고 있지만 지속적인 효과는 없다며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통'을 강화하는 것만이 본질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집단화가 양극화를 조장한다고 꼬집었다. 이 교수에 따르면 개인이 집단에 속하게 되면 편향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박에 없게 된다. 타 집단의 정보를 습득할 수 없는 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그는 양극화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언론을 꼽았다. 언론이 다양한 의견을 제공해 편향성을 줄여줘야 하는데,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언론이 편향되면 양극화를 가속화시킬 수밖에 없다며 언론 뿐만 아니라 정치단체, 사회단체 등에게도 책임을 물어야 하고 양극화 책임을 공중에게만 전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