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4.9% 인상…IT업계 비명

일반입력 :2012/08/06 10:32    수정: 2012/08/06 10:40

전기요금이 결국 인상됐다. 당초 한국전력의 요구인 20% 수준엔 못미치지만 지난해부터 1년 사이 인상폭도 20%에 이른다. IT업계는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비용부담 증가를 우려하는 상황이다.

지식경제부는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3일 제출한 전기공급약관 변경안을 인가해 6일부터 전기요금을 평균 4.9%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중 IT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센터(IDC) 분야는 일반용(을) 전기요금 체계를 적용받아 종전대비 4.9% 인상됐다.

IDC는 작년부터 이어진 요금인상에 따라 20% 가량 인상된 전기료 부담을 안게 됐다. 인상률은 작년 6.3%, 5%, 올해 4.9%로 16%수준이지만, 지경부가 올해 1월 수도권 소재 IDC를 지식서비스 특례요금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실질 인상폭이 20%에 달한 것이다.

IDC 업계는 “정부의 정책 기조가 전기요금 인상과 전기 사용 억데로 가는데 비해, IDC 사용량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전기요금인상에 따른 뾰족한 대책이 마땅치 않아 걱정”이란 반응을 보였다.

최근 진행되는 신축 데이터센터의 경우 에너지 절감 방안으로 공조 시스템을 친환경적인 형태로 구축하고 있지만, 이미 운영중인 데이터센터의 경우 내부 시설을 대폭 변경해야 해 당장 전기요금 부담증가를 해소할 마땅한 대책이 없다.

전기요금 인상은 IDC업체들에 부담을 주기보다 최종 사용자의 부담을 늘린다는 점에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국내 IDC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전기요금 인상분을 서비스 계약자에게 적용한다. 이미 체결된 계약의 경우 전기요금 인상을 적용하지 않지만, 재계약과 신규계약에 대해 늘어난 전기요금을 부과한다.

현재 계약과 갱신 사이에 발생하는 시간적 공간에 따라 IDC는 전기요금 부담을 지게 된다. 때문에 신규 계약자의 IDC 서비스 요금이 전기요금 상승폭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데이터센터의 한달간 전기요금은 수십억원에 달한다. SK C&C의 경우 30억원을 한달 전기요금으로 지불하고 있다.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는 공공, 금융을 포함한 IT서비스업체 IDC와 민간 IDC 등으로 73개다.

2011년 3월 기준 현재 국내 IDC의 한달 평균 사용 전력은 110만KWh 수준으로 현재는 그 수치가 더 높아져 있다.

오늘날 모든 기업의 비즈니스는 IDC를 기본 바탕으로 한다.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기업이 없을 정도.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DC는 24시간 가동되며, IDC 중단은 비즈니스 자체를 중단시키는 중대한 사건으로 취급된다. IDC 중단으로 파생되는 사업 피해규모는 추산불가일 정도다.

관련기사

기업들은 늘어나는 전기요금 부담을 떠안은 상태로 기존 인터넷 서비스 사업형태는 유지해야 하는 이중고에 처한다. 비용부담을 이유로 IDC 투자비를 줄이게 되면 결국 소비자 대상 서비스 품질마저 낮아진다.

IDC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의 전기요금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냉각비용 절감을 위해 솔루션을 찾고 있다”라며 “하지만 민간에서 할 수 있는 전기요금 절감노력은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