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반도체 업계 300mm팹 투자 9% ↑

올해 3190억달러 매출 기록할 것

일반입력 :2011/01/26 16:22

손경호 기자

세계 반도체 업계가 지난해 3040억달러로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엔 3190억달러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태블릿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증가가 가장 큰 성장세의 주역이 될 전망이다. 300mm 웨이퍼제조공장(팹)에 대한 투자 역시 상승세이며 장비투자 전망도 밝다

스탠리 메이어 국제반도체장비재료산업협회(SEMI)회장은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6일~28일까지 사흘간 열리는 세미콘코리아2011에 앞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300mm 팹 투자의 경우 한국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1위를 기록하고 있다. SEMI에 따르면 올해 국내 300mm 웨이퍼 생산량은 100만장에 달한다. 지난 해 우리나라의 300mm 팹 투자는 전년대비 19%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올해도 9%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다. 스탠리 메이어 대표는 “지난 해 300mm 웨이퍼팹 시장이 약 14% 성장했으며 올해와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로 한국·대만·북미의 장비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SEMI가 제시한 지역별 장비시장 전망을 보면 지난 해 총 375억4천만달러 투자를 유지했으며 올해엔 389억5천만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웨이퍼 생산 장비는 물론 테스트·패키징 분야에서도 장비투자가 늘고 있다. 작년 281억1천만달러 규모이던 웨이퍼 생산장비 투자는 올해 301억9천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SEMI는 전망했다.

국내 장비투자는 지난 해 96억달러에서 올해는 83억달러 수준으로 줄겠으며, 재료투자는 지난 해 61억달러에서 올해는 65억달러로 소폭의 투자증가세가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