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선인터넷 5.1조 투자 ‘강공’

와이파이-와이브로 전국구 늘린다

일반입력 :2010/07/27 10:00    수정: 2010/07/27 10:41

김태정 기자

KT가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를 비롯한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충에 5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4G LTE만으로는 늘어나는 트래픽 대응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KT(대표 이석채)는 27일 서울 광화문 사옥서 이석채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무선 인터넷 투자 계획을 설명했다.

구체적 계획을 보면 오는 2014년까지 와이파이 2천500억원, 와이브로 5천500억원, LTE 1조6천700억원, 3G 2조4천억원, 클라우드컴퓨팅 1천억원, 무선인터넷백본 1천300억원 등 총 5조1천원억을 투자한다.

이에 따라 현재 2만8천여곳인 KT 와이파이존은 연말까지 4만곳, 내년 말까지는 10만곳으로 확대한다. 이 정도면 세계 1위 수준이라는 것이 KT 측 설명이다.

현재 서울 및 수도권 19개시에 구축한 와이브로 망은 오는 10월까지 5대광역시와 경부/중부/호남/영동 고속도로로 확대하고, 내년 3월 전국 84개시와 서해안/남해/신대구-부산 고속도로에 추가 구축 완료할 계획이다.

이 같은 투자는 막대한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스마트폰과 태플릿PC, 커넥티드TV 등 새로운 디바이스 범람으로 늘어난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소화하려면 현재의 인프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KT 측 설명이다.

트래픽 증가세는 이미 심상치 않다. KT 3G망의 경우 트래픽이 작년 12월부터 지난 5월까지 6개월 간 3배나 증가했다. 일반폰 이용자 대비 평균 20배 이상 데이터를 쓰는 스마트폰 이용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현재 KT의 3W(WCDMA, 와이브로, 와이파이)네트워크별 트래픽 비율은 대략 1 : 2 : 7 정도로서 총 데이터 트래픽의 90%를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에서 수용한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2014년 KT의 데이터 트래픽은 LTE가 도입되더라도 3G와 LTE를 합한 수용량의 4.5배 수준을 초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KT가 투자를 서두르는 이유다.

관련기사

KT는 3G 및 LTE만으로는 대안이 될 수 없으며 VOD/MOD등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을 경제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와이파이와 이동형 와이브로망을 확대 구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책임을 강조했다.

KT 표현명 사장은 "무선데이터 트래픽 폭증 시대를 맞아 KT는 유무선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역량을 총동원하여 끊김 없는 유무선 토탈 네트워크를 구축해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의 '모바일 원더랜드'로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