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2010]삼성SDS “PC 역할은 디스플레이로 충분”

일반입력 :2010/05/13 14:18    수정: 2010/05/14 14:08

김태정 기자

삼성SDS가 공격적 클라우드컴퓨팅 전략을 제시했다. 지난에 걸쳐 핵심고객들에게 선보여 온 노하우를 설명했다.

최윤석 삼성SDS ICT본부 팀장은 13일 메가뉴스 지디넷코리아가 삼성동 코엑스서 개최한 ‘ACC2010-클라우드컴퓨팅 컨퍼런스’에서 발표에 나섰다.

클라우드컴퓨팅을 차세대 핵심 사업으로 지목한 삼성SDS는 현 상황을 ‘근본적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시장에 몰려 온 클라우드컴퓨팅에 파도에 맞춰 기업들의 시스템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 팀장은 “온라인으로 서비스하면 다 클라우드컴퓨팅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는 데 엄격하게는 옳지 않다”며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신청과 반납이 자유로우며 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진정한 클라우드컴퓨팅이다”고 밝혔다. 이어 “고객들은 클라우드컴퓨팅에 따라 IT는 더 이상 투자해야할 자산이 아닌 이용서비스가 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삼성SDS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역할만 한다’는 전제 하에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단말기는 인터넷에 연결할 브라우저만 돌린다는 뜻이다.

모든 문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하고, 소프트웨어 역시 서버에서 실행된다.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회사와 동일 업무를 가능케 한 것이 핵심이다. 클라우드컴퓨팅의 기본 내용에 철저히 따르는 것이다.

이와 함께 부족한 부분은 전문 솔루션으로 보강하며, 연구업무까지 지원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최 팀장은 “보통 연구원들이 2년마다 PC를 바꿔 달라 할 정도로 개발환경 변화가 심하다”며 “연구원들이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을 클라우드로 구현해 비용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 체계는 월 사용료 방식이다. 사용량 혹은 계정 기준이며 서버, 디스크, 백업, 통신, 보안, 운영, 유지보수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쉽게 사용만 하라는 뜻이다.

최 팀장은 클라우드컴퓨팅 사업자라면 규모의 경제를 상당히 갖춰야 함도 강조했다. 클라우드컴퓨팅의 방대한 규모를 감안할 때, 적은 규모 조직에서는 제대로 서비스를 못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고객 요구 수준을 맞추려면 상당한 크기의 전문 조직이 필요하다”며 “적은 규모에서 억지로 따라가려면 손해 보는 장사가 나오는 것이 클라우드컴퓨팅이 시장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