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산업은 공급에 앞서 시장 수요에 문제가 있다."
카이스트 안철수교수는 앱센터컨퍼런스 키노트세션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SW산업을 육성할수있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앱센터 컨퍼런스는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앱센터운동 추진과 관련 내용 을 알리기위해 앱센터운동 추진본부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청등이 주최했다. 앱센터운동은 국내 SW개발자들을 지원해 개발활동과 전세계 판매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안철수 교수는"공급측면에서 많은 정책이 나오고 있는데 수요에 대해서는 거의 화두가 안되고 마땅한 해결책도 없는것같다"며 "많은 회사가 세워지고 인력이 동원되지만 정작 제대로 된 일자리는 생겨나지 않고 불공정한 시장이 생겨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내놓는 정책들이 주로 사업활동을 일차원적으로 지원하는데 그치고 지원책이 시장에서 지속적인 효과를 거두는데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안철수 교수는 "이런 상황이 장기적으로는 애써 들인 노력을 헛되게 만들뿐더러 사업자와 시장도 망하게 된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위해 SW가치 인식 제고, 인력양성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고 시장구조를 바로잡아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애플리케이션 생태계와 모바일 비즈니스 분야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있고 기회가 충분한만큼 조심스럽게 접근해서 살려내야할 부분이다"라며 "왜곡되지 않은 시장구조와 전국민적인 SW가치 인식이 갖춰지고 어떻게 산업인력을 양성할지 고민하지 않으면 모바일비즈니스 산업에서 걸림돌이 될것"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에 따르면 왜곡된 시장구조란 국내시장 관행에서 존재하는 갑과 을의 불평등한 권력관계에서 발생한다. 한 대기업에 같은 계통 산업분야에서 경쟁하는 여러 중소기업들이 따라붙게 됨으로써 이익을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경쟁력이 정체되고 결국 도태되는 악순환이 된다는 것이다. 또 한 대기업에 묶인 중소기업이 눈치를 보느라 또는 계약관계로 묶여있어 다른 대기업이나 시장에 판로를 개척하지 못하고 좁은 시장에 갇히게 되는 '동물원구조' 역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시장규모가 세계 10위라면 이보다 작은 시장이 전세계 200여개국이라는 건데 이게 작은게 아니다"라며 "서로 개방된 시장을 넘나들며 경쟁할 수 있다면 충분히 큰 시장인데 정말 동물원 우리에 갇힌 것처럼 생기와 활력을 잃고 병에 걸려 초라해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왜곡되지 않은 시장구조란 산업에 참여한 이들이 기여한만큼 공평하게 이익을 나눠갖는 기반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이제까지 주요 유통망이나 판로를 쥐고있는 대기업, 통신사들이 콘텐츠를 공급하는 중소기업들을 수직적효율화에 기반해 통제하고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인식이다. 안철수교수는 이에반해 미국시장에서 일반화된 수평적 네트워크 사업모델이 전세계를 비롯해 한국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어 수직적 사업구조로는 이에 대응할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SW개발자 위한 앱센터 운동 시작됐다2010.02.23
- 월드 랠리서 만난 현대차 vs 토요타…"여기선 빠른 제조사가 1위"2024.11.22
- 윤명진 네오플 대표 "던파 페스티벌 허위 폭발물 신고...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2024.11.23
- "실시간 컨콜까지 가능해졌다"…퍼플렉시티 움직임에 구글 '사면초가'2024.11.23
안 교수는 그 예로 애플 아이폰과 앱스토어가 국내 스마트폰시장에서 선전하고 하드웨어사양이 열세인 닌텐도 위가 가정용게임기시장에서 소니 플레이스테이션3보다 많은 이익을 거두고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그는 "아이폰이 한국에 들어온 의미는 하드웨어싸움이 아니라 효율화된 수직적 비즈니스모델과 미국에서들어온 수평적네트워큼모델간의 싸움이라고 본다"며 "하드웨어간 싸움이라고 보면 이는 도저히 이길수없는 싸움이고 비즈니스관점에서 보면 대처방법을 잘 찾을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안 교수는 발생하는 성과를 제도가 좋은쪽으로 유도 하지못하는 면이 있는 반면 중소기업도 자승자박하는 경우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에 따르면 어떤 산업분야에서 상황이 어려워진 기업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정리돼야 나머지 업체들이 계속 경쟁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시장에서 금방 사라지는게 아니라 덤핑을 벌이면서 억지로 살아남으면서 결과적으로 다른 사업자들이 함께 피해를 당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른바 '좀비 이코노미'다. 안철수 교수는 "멀쩡한사람을 좀비가 물어서 좀비로 만들듯이 한기업이 좀비가 돼 시장에 돌아다니는 꼴"이라며 "전산업 가격구조가 망가져 모두 망가지게 된다 나중에는 좀비밖에 남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