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과 부동산 중개업계 간 갈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 질서를 저해시켰다는 죄목(?)으로 NHN 때리기에 나선 공인중개사 협회. 그리고 허위매물로 소비자를 우롱한 책임이 부동산 업계에 있다고 주장하는 NHN. 양측 모두 물러섬이 없다.
일반 누리꾼들의 혼란 역시 커졌다. 포털에는 ‘NHN이 부동산 사업에 진출하려 한다’, ‘의뢰인 개인정보가 돌고 있다’ 등 근거 부족한 소문들이 떠도는 중이다.
지난 6월 ‘매도 의뢰인 개인정보’ 제공을 전제로 시작한 네이버 ‘매물 확인 서비스’의 오해와 진실을 살펴봤다.
■NHN에 의뢰인 정보 넘기면 불법?
이번 서비스 개편에 따라 NHN은 실제 의뢰인 실명과 연락처를 제시해야 매물을 등록할 수 있게 했다. 있지도 않은 매물을 허위로 올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공인중개사가 NHN이든 어디든 의뢰인 개인정보를 당사자 동의 없이 넘기면 불법이다. 공인중개사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1년 이하 징역이나 1천만원 벌금형에 해당된다.
하지만 고객 동의가 있다면 합법이다. NHN은 공인중개사들에게 고객 허락을 받은 후 정보를 제출하라고 명시했다. 신청서에는 정보 제출에 있어서 고객 동의를 받았다고 공인중개사가 체크하는 부분이 있다.
■불법조장 ‘갑론을박’
만약 고객이 네이버에 대한 개인 정보 제출을 거부했다고 가정해보자. 공인중개사는 포털 1위에 매물을 올릴 기회를 잃는 것이다. 고객 동의를 받았다고 허위 체크만하고 정보를 넘길 수 있다.
한 공인중개사는 “네이버에 매물을 올리려 일부 공인중개사들이 불법을 저지를 소지가 있다”며 “물론 책임은 해당 공인중개사에게 있지만 NHN이 모험(?)을 하게 만든 측면도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NHN은 대비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한다. 공인중개사가 제공한 의뢰인 정보를 보고, 실제 전화를 일일이 걸어 확인하겠다고 했다.
NHN 관계자는 “의뢰인이 아무리 많아도 철저히 전화해서 정보제공 동의 여부를 확인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적잖은 인력과 비용을 투자했다”고 말했다.
물론, 외부 감시 기관이 없기에 NHN의 약속을 100% 믿을 수는 없다. 본인이 매물을 맡긴 공인중개사가 혹 네이버에 정보를 올렸다고 했을 때, NHN의 전화가 오는 지 확인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NHN이 부동산중개업 나설까?
이번 개편에 따라 NHN에는 매도 물량과 해당 의뢰인의 정보를 함께 갖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NHN이 부동산중개업 준비에 들어갔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공인중개사들이 발품을 팔아가며 얻는 고객 정보를 NHN은 앉아서 모으고 있다”며 “이 정보들을 가지고 얼마든지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NHN이 가장 억울해하는 부분이다. NHN은 중개업소와 소비자를 이어 줄 뿐 부동산중개업을 할 생각은 전혀 없다는 뜻을 보였다.
관련기사
- 네이버 부동산, 가짜 매물 차단2009.08.17
- NHN, 부동산 허위정보 차단한다2009.08.17
- 이재용 회장, 10년 사법리스크 끊고 경영 무대 전면에…'뉴삼성' 시동2025.07.17
- 135억원 투입해 'G-클라우드' 확장…정부, 공공시스템 대전환 나선다2025.07.17
NHN 측은 “개인정보는 매물 확인 후 120일 이내에 반드시 폐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며 “매물 확인 외에는 어떤 용도로도 정보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공인중개사들의 의심은 점점 커져 네이버에 대한 매물 등록 거부로 이어졌다. 이 때문에 네이버 부동산 매물은 급감했다. 매물 양적인 측면에서 네이버 부동산의 힘이 미미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각종 의혹을 없앨 NHN의 다른 조치가 요구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