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IPTV '1년내 상용화'…제주 정상회의서 첫 시연

일반입력 :2009/06/02 15:28    수정: 2009/06/02 16:25

김효정 기자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의 대표주자 IPTV가 손 안으로 들어왔다. 와이브로 기반의 모바일IPTV 서비스가 우리 기술을 통해 세계 최초로 시연함에 따라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KT의 합병 등 본격적인 융복합 통신서비스 시대가 열리는 가운데, IPTV가 진화를 거듭해 모바일로 진출했다. 모바일IPTV는 제주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2일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에 선보인 모바일IPTV 서비스는 KT의 와이브로망과 방송용 미들웨어 솔루션을 공급하는 알티캐스트가 개발한 SW가 탑재된 울트라모바일PC(UMPC)에서 구현됐다.

이번 서비스는 비록 정상회의가 열리는 서귀포 국제컨벤션센터 위주의 제한된 구역에서 한시적으로 제공된 시범 서비스이지만, 표준화 및 제도적인 문제만 풀리면 곧바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서비스라는 점에서 추후 응용 가치가 높다.

특히 모바일IPTV는 기존 유선IPTV의 기술과 시스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복투자에 대한 부담이 적고, IPTV가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휴대단말기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유무선 융합서비스의 한 축을 이룰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사 서비스로 DMB가 있지만, DMB는 방송의 모바일화 서비스로 DMB2.0을 통해 양방향성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IPTV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IPTV의 특성인 '큰 양방향 대역폭'을 활용, 주문형비디오(VOD)나 양방향 애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한 퍼스널 미디어화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KT 컨버전스와이브로사업본부의 김현표 박사는 지금까지는 셋톱박스 임대가격 등 가정에서 1대 이상의 TV를 운영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모바일IPTV는 PC나 노트북 같은 단말기에서도 IPTV의 양방향 서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모바일IPTV의 등장이 각광받는 또다른 중요한 이유는 서비스의 확장성이다. 모바일 서비스의 제공은 개인의 생활뿐 아니라, 콘텐츠의 소비 형태에 변화를 가져온다. 즉, 단순히 이동 중에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위치기반서비스(LBS)나 끊김없는(Seamless) 서비스 등 미래형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 진다는 점이다.

모바일IPTV 솔루션을 개발한 알티캐스트의 조성호 차장은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에, 기존 표준규격에 따르는 장비의 이전도 쉽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브로 망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모바일IPTV 서비스인 만큼 해외 진출 시 활용도가 높다는 것.

■모바일IPTV 제도 마련 등 해결 과제

그러나 모바일IPTV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관련 방송기기 환경이 와이브로 상에서 구현되는 등 관련 장비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번에 시연된 서비스에서는 실시간 방송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멀티캐스트 표준 및 장비들이 준비되지 않아, 각 개별 단말(UMPC)로 직접 채널을 전송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UMPC 외에 대중성이 있는 휴대폰 단말에서도 서비스가 지원되야 한다. 그 밖에 모바일IPTV에 대한 제도 마련, 콘텐츠 수급 등 유선 IPTV 활성화, 와이브로 가입에 따른 망 사용료와 IPTV 이용에 따른 비용 발생에 대한 요금체계 정립 등도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알티캐스트 측은 관련 방송장비의 개발 등 업계의 협력이 뒷받침 된다면 기술적으로는 1년 이내에 상용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모바일IPTV가 가지는 차세대 미디어로서의 특성과 해외 진출 가능성에 대해서 적지 않은 기대를 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세계 최초로 모바일IPTV 시연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아세안 국가에 와이브로 등을 수출하는 기회도 마련될 것이다고 말했다.

KT의 김현표 박사는 인터넷과 마찬가지로 광대역 모바일 인터넷도 우리나라가 앞서 나가고 있다. 해외에서 이러한 인프라가 갖춰지는 시기나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지만, IPTV 기술이 수출될 때 모바일IPTV 기술도 같이 수출될 것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