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훈 KISIA 회장 “보안벤처 확 키운다”

일반입력 :2009/01/15 16:42    수정: 2009/01/15 16:42

김태정 기자

“경기침체에 따라 정보보안 시장에 부익부 빈익빈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강자가 살아남는 게 당연하다지만 알짜 기술을 가진 벤처가 규모에서 밀려 무너지는 일은 막아야 합니다”

지난해 초부터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를 이끌어온 박동훈(닉스테크 대표) 회장이 중소보안벤처 육성론을 화두로 던졌다.

KISIA 회장 원년인 지난해 나름 합격점을 받았던 박동훈 회장은 2년차인 올해에는 중소 정보보호 벤처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주력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정부와 현실적 대안 만든다”

박동훈 회장이 올해 정보보호 벤처를 키워보다는 말을 꺼낼때만 해도 흔히 말하는 거룩하고 지당한 얘기만 나오는 줄 알았다. ‘업계 자정 노력’이나 ‘가격 경쟁 지양’ 등 듣기는 좋지만 현실적으로 가망은 별로 없는 레파토리가 쏟아지겠지 싶었다.

기자의 예상은 빗나갔다.

박 회장이 뽑아든 카드는 ‘대정부 공략’이었다. 보안업계에 산적한 장애요소를 데이터로 모아 정부에 알리고, 업체들에게 단비가 될 법제도 추진을 모색해 보겠다는 것.

KISIA가 지난해를 기점으로 지식경제부 산하로 이관, 정부와 스킨십을 늘려온 점을 감안하면 현실성이 충분한 계획이라고 박 회장은 강조한다. 이미 보안업체들의 난관과 해결책을 제시한 ‘정보보호 육성 리포트’가 KISIA를 통해 지경부에 보고되고 있다.

“업계가 먹고 살 생태계를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영세한 기업일수록 생태계 크기에 따라 희비가 갈리는 것이 사실이죠. 다행히도 지경부에서도 KISIA의 뜻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박동훈 회장은 대 정부 공략에 있어 ‘유지보수 요율 현실화’와 ‘분리발주’를 전진 배치할 계획이다.

우선 유지보수 요율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모아 업체들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을 지경부와 만들어 보기로 했다. 현재 정보보호 업체들은 제품을 판 뒤 무리한 유지보수를 요구하는 고객사로 인해 시름하고 있다.

일반 소프트웨어는 유지보수 비용이 공급가의 10~15% 정도지만 정보보호 부분은 대부분 7~8%로 알려졌다. 경쟁사에 고객을 뺏길까봐 합리적인 유지보수 가격을 제시하지 못하는 업체가 수두룩하다. 그런만큼 정부를 통해 정식 매뉴얼을 설정, 요율을 20~25%까지 늘리겠다는게 박 회장의 복안이다.

분리발주는 행정안전부에서 좋은 징조가 엿보이고 있다. 정부기관 중 보안 솔루션을 발주내는 가장 큰 기관이 행안부인데 분리발주를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최근 행안부는 대부분의 정보화 사업에서 SW 분리발주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을 보였다.

■영업지원 중심으로 KISIA 개편

KISIA 자체 개편안에 관한 설명도 나왔다. 박 회장은 올해 KISIA 내부 조직을 강화, 영향력을 확대할 생각이다.

특히 물리나 융합 보안 업체들에 대한 회원사 유치 행보를 시작했다. 정보보호가 아닌 보안 업체들도 품에 안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대부분 정보보호 벤처보다 큰 규모를 자랑한다. 가세할 경우 KISIA에 큰 힘이 될 수 있는 이유다.

박 회장은 “앞으로 정보보호 벤처와 물리/융합 보안 업계간 네트워크를 형성, 상생의 발판을 KISIA가 만들겠다”고 밝혔다.

분과위원회도 대폭 바뀐다. 그동안 KISIA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등 기술 중심으로 분과를 나눠 운영했다. 박 회장은 이를 ‘공공기관 구매제도 개선 연구’, ‘해외진출 건의안 기획’ 등 업무 중심의 분과로 개편키로 했다. 이 역시 보안 벤처 살리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KISIA가 제대로 구심점 역할을 해야 회원사들이 믿고 따라옵니다. 올해 제대로 바뀐 모습을 보이겠습니다”

끈질기게 보안 벤처를 아우르려는 이유에 대해 물었다. 경기침체에 따라 ‘될 만한 곳만 키우자’는 풍도도 생겨나고 있는 것이 사실.

관련기사

이에 박 회장은 “기술이 아깝다”라는 답을 내놓았다. 작은 기업이 무너지면서 큰 기술이 사라지고, 대기업은 이를 마다하는 현상이 안타깝다는 것.

박 회장은 “유망한 기술을 써보지도 못하고 사라지는 보안 벤처들을 보면서 국가적 손실이 크다 느꼈다”며 “부익부 빈익빈이 아닌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보안업계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싶다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