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남북한 온 국민과 세계의 관심 속에서 치러진 ‘2007 남북정상회담’ 기간 동안, 남북간 통신 및 방송중계업무를 차질없이 수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 중에는 평양의 수행원 및 기자들이 국내의 인터넷망에 접속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북한 통신협력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시켰다고 덧붙였다. KT는 2007 남북정상회담 계획이 발표된 지난 8월 8일부터 관련업무 전문가 50여명으로 통신운용대책본부를 구성, 국제위성과 무궁화 위성, 광케이블 등을 이용한 통신 및 방송중계방안을 정부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통신제공방안이 확정된 8월31일부터 남북간 회선을 구성했으며, 회담일정과 프레스센터 운영방안 등이 구체화된 9월27일부터는 연인원 1,500여명이 동원돼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 특히, 소공동에 마련된 롯데호텔 프레스센터에서는 30여명의 인원이 철야 작업을 통하여 광케이블 등 94시스템을 설치하고 TV방송회선, 인터넷 등 1,200여 회선을 구축했다. 또한 방송중계를 위해서는 KT의 무궁화3호 위성을 통해 서울 KBS와 KT 영등포 방송센터, 프레스 센터를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비상시를 대비해 인텔세트를 이용해 방송망을 이원화했다. 한편, 해외 중계도 서울-평양간 직통망에 의한 방송전용회선과 위성으로 이원화하여 장애 가능성을 최소화했다. 통신 지원 작업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번 정상회담의 화제거리 중 하나인 남북한 인터넷연결은 정상회담 나흘 전에 결정된 사항이다. 당초에는 2000년 정상회담 당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인터넷망을 통해 이용할 예정이었으나, 최대 가능한 속도는 45Kbps로 각 언론사의 홈페이지 하나를 띄우는데도 30초 이상 걸려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했던 것. KT 측은 위성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 제공 방안도 고민했으나, 지난 2005년에 이상가족 화상상봉용으로 개통한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라고 판단하고, 남산 적십자사에 있는 화상상봉망을 혜화지사의 KT 인터넷망과 연결해 45Mbps의 고속인터넷을 개통했다고 전했다. 또한, 내외신 취재진의 통신수요가 급증해 전화와 인터넷을 개통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았다며, 전화와 전용회선 및 인터넷 회선 수요가 당초 예상치의 5배 이상인 1,000회선을 넘으면서 KT 기술진이 총동원 됐다고 설명했다. KT 측은, 통신시설 개통 소요시간에 대한 국내외취재진의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국내기자들은 "전화 개통에 왜 1시간이나 걸리느냐?"며 재촉한 반면, 외신 기자들은 신속한 개통에 "고맙다"는 반응을 보였다는 것. 이번 통신지원과 관련 KT 사업협력실장 맹수호 전무는 "짧은 기간의 준비로 2007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지원은 물론 북한측의 적극적인 협력 덕분이다"라며 "계속된 밤샘 작업으로 인해 몸은 피곤하지만, 남북 정상회담이라는 역사적인 사명을 감당한다는 생각에 모든 직원들이 즐겁게 일해 왔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다른 KT 관계자는 "인도적 차원에서 개통한 광케이블이 정상회담 지원에 활용되어 정말 흐뭇하다"며 "향후 서울-평양 간 전화 및 개성공단 입주기업을 위한 인터넷 제공에도 이용되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밝혔다. 한편, KT는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의 경쟁력 재고를 위해 전화, FAX등 을 공급하고 있으며, 개성공단 본공단에 연건평 9,917㎡(약 3,000평)규모의 통신센터를 건설하기 위해 북측과 협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