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계획정보관리시스템(Urban Plann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에 3D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여 관련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구글이나 MS 등 주요 인터넷 기업들이 웹 기반의 3D를 이용한 지도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가운데 3D 엔진 기술이 전문적인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한 수준으로 실용화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D GIS 엔진의 핵심은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자료의 정확성과 사실적 표현, 자유로운 검색과 위치이동, 확대/축소/상하좌우이동 처리시의 품질과 속도유지를 위한 LOD(Level of detail)관리, 건축물, 교량, 고궁, 조경, 가로시설물 등 개별 오브젝트 관리 기능이다.
서울시는 약605㎢ 면적에 지형(DEM) 1m×1m, 항공사진(Aerial Photogrammetry)은 10cm×10cm 고해상도 자료를 구축하였고, 100만개의 건축물을 박스형으로, 1200여개의 주요 건축물(landmark)에 대해서는 실사모델을 구축하였다. 서울시의 프로젝트에 적용된 3D 기술은 이러한 고해상도,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도시계획행정업무와 도시계획위원회(Urban Planning Committee) 등의 도시계획 실무에서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속도와 품질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구글의 구글어스와 스카이라인소프트의 테라 익스플로러, 지오심시스템의 지오심스 3D시티 등 경쟁제품 보다 높이 평가를 받았다.


국제 도시 환경 구축의 밑거름이 된 3D
서울시는 쾌적한 환경을 갖춘 품격있는 국제 도시를 만들기 위해 1999년 말부터 2002년까지 4단계로 도시계획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는 2단계에 걸쳐, 이 시스템의 활용기반을 조성하는 유지관리사업과 서울시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3차원 경관관리 시스템의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의 도시계획정보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이인근 국장은 3D 기술을 채택한 배경에 대해서 “서울시는 산과 강이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고, 대한민국 인구의 1/4인 1천 만 명이 모여 사는 고밀 도시로서 개발과 보전을 조화롭게 병행하는 것이 과제이므로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도시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건축물 계획시에 경관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정책적인 필요성을 위해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도시스카이라인에 어울리는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결정하고 주변건축물에 미치는 일조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고 했다.


서울시에서는 이 시스템을 통하여 생성되는 3차원 도시공간을 시에서 주관하고 있는 각 업무별로 확대 활용하고 웹을 통해 누구나 3차원으로 서울의 모습을 보게 하여 시민들의 정책참여를 유도하고 나아가 외국관광객의 유치에도 도움이 되게 할 계획이다. 먼저 1,200만 명 관광객 유치 계획홍보와 관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원 등을 실사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에 적용된 3D 엔진을 개발한 우대칼스의 김경민 사장은 2008년에는 오픈 소스 환경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3D 엔진 기술을 지원할 것이다. 우리의 향후 목표는 능동적인 3D 가상세계의 구현으로 예를 들면 3차원의 실제공간에서 아바타가 계획하고 분석하고 시민과 의견을 나누는 웹2.0의 기술을 선보일 것이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3차원 기반의 능동적인 도시관리의 도구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현재 우대칼스는 독일과 네덜란드, 홍콩, 일본 등의 정부기관과 민간 기관의 GIS관련 사업에 3D 엔진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대시민 서비스를 위해 도시계획 시스템 외에도 민원처리공개시스템(Open System), 대중교통정보서비스, 서울시 토지종합정보 서비스(Seoul Land Information Service), 서울시 지리정보 포털 서비스(Seoul GIS Potal Service) 등을 제공하고 있다.
웹2.0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확대의 성장동력 3D
서울시와 같이 지형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 외에도 3D 기술은 인터넷에 접목되면서 기존의 서비스와 매쉬업을 통해 웹2.0 시대를 이끌 새로운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의 3D 적용은 더욱더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3D 위성 이미지 지역검색 서비스는 단순한 지역 이미지 제공을 벗어나 지역상권 정보나 길 안내, 온라인 식당예약,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등의 결합은 새로운 광고 시장을 만들고 있다.
이외에도 위성서비스와 연계한 부동산 서비스, 사진이나 빌딩에 대한 3차원 모델링, 3차원 지도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와의 연동, 세컨드 라이프에서의 다양한 활용은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