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살 즈음에 내 주변엔 큰 맘먹고 자동차를 구입하는 친구들이 서서히 늘기 시작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자동차에 전국지도를 하나쯤 구비했고 길 한편에 차를 세워놓고 더듬더듬 목적지를 찾았던 기억이 있는데 이젠 대부분 사람들이 내비게이션을 구입해 보다 편리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
이번에 맡게된 제품은 청람디지털에서 출시한 ‘XPN-700D’.
7인치 내비게이션 제품으로 시원시원한 화면과 미려한 디자인, 지상파 DMB, 동영상까지 지원하는 컨버전스 제품으로 최신 GPS칩셋인 'SiRF STAR III'를 탑재해 빠른 수신 능력을 자랑하며, PIP 오버레이 등 다양한 기능이 눈에 띄는 제품이다.
기기의 기능이나 맵으로 탑재된 콩나비 등 궁금한 점이 무척많다. 테스트를 통해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자.

풀 키트(FULL KIT)의 모습으로 아낌없이 제공되는 액세서리가 눈에 뛴다. 본체를 비롯해 거치대, 사용설명서, AV케이블, 차량용 전원케이블, DMB용 안테나, 2기가바이트(GB) 메모리 등이 동봉돼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 없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사진에 보이는 가정용 어댑터는 테스트용이다.)

182x121x41mm의 크기와 528g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7인치 와이드 LCD를 내장한 제품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무게 또한 무난하다고 할 수 있다(휴대용 제품이 아니므로 크기나 무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블랙 컬러, 측면에 미러재질을 덧대어 단순함을 탈피한 것이 인상적이며, 뒷면 또한 상당히 깔끔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고성능 CPU인 삼성의 S3C2440-400MHz를 장착해 멀티테스킹 작업이 원활하며, 최신 제품에서 사용되는 윈도우 CE 5.0 코어 OS를 채용한 것이 눈에 뛴다.

기기 전면의 모습이다.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7인치 와이드 TFT LCD를 채용했으며, 480x234의 해상도를 지원해 내비게이션 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기능 사용에도 큰 지장이 없다.
또한 하단에 가지런하게 버튼이 정렬돼 있으므로 볼륨조절, 전원 등의 조작이 간편하며, 내비 및 DMB 바로가기 버튼이 준비돼 있어 보다 빠르게 관련 기능을 실행 할 수 있다.


기기 상단의 모습이다. SD 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이 장착돼 있으며, 측면에 기기의 오작동시 사용하도록 리셋(RESET) 버튼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SD메모리 카드는 저가형 제품이 아닌 샌디스크 제품을 사용).
기본 2GB 메모리에 내비 데이터가 1.4GB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600MB 정도의 여유공간에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 DMB안테나 연결을 위한 단자가 설치돼 있으며 1개의 AV OUT, 2개의 AV IN 단자가 설치돼 외부 기기와의 연결이 간편하다.
하단에는 전원입력단자가 설치돼 있으며 외부 기기를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USB 단자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하지만 USB HOST가 1.1이라는 것이 다소 아쉽다).


기기 뒷면의 모습으로 두 개의 스피커가 부착돼 있으며 중앙에 거치대 마운트가 설치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의 GPS 안테나는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최신 칩셋인 SiRF STAR III를 탑재해 안정적이고 정확한 GPS 수신이 가능하다.
볼륨을 최대로 했을 경우 소리가 상당히 우렁차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사용시 카팩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성정보를 듣는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다만 MP3를 들었을 때 다소 노이즈가 들리는 것이 아쉽다).


동봉된 거치대의 모습, 2중 조임 구조로 돼 있어 본체의 거치대 마운트와의 연결이 상당히 간편하며, 각도 조절도 레버를 돌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바닥면의 흡착판의 성능도 뛰어나기 때문에 웬만한 충격으로는 떨어질 일이 없을 것이다.

각종 액세서리의 모습이다. 차량용 전원 어댑터와 AV케이블, DMB 시청용 안테나 등이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성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UI 및 각종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메인 메뉴의 모습으로 각 기능별로 아이콘이 정렬돼 있어 상당히 직관적이며 실행도 무척 간편하다. 무엇보다 궁금한 것이 콩나비의 UI 구성으로 필자가 처음 접하는 맵이니 만큼 기대 또한 크다.


내비게이션 실행 모습으로 아리따운 여성의 목소리와 함께 지도 화면이 표시된다. 사진과 같이 3D맵 설정도 가능하며, 좌측 하단의 화살표 버튼을 눌러 경로를 입력할 수 있고 모의 주행 및 경로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모든 버튼은 핑거터치가 가능하도록 크게 설계됐다).


모의주행테스트를 실행한 모습이다. 하단의 사진과 같이 좌측에 분활화면을 통해 정확하게 경로를 알려주며, 과속카메라의 위치 또한 정확히 알려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뉴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3개의 검색부분과 4개의 설정부분으로 나누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검색 메뉴의 모습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칭검색을 비롯해 주소, 전화번호, 경위도 검색 등을 지원해 초보자라도 손쉽게 목적지 및 경유지를 검색하여 설정 할 수 있다(명칭검색은 초성입력 지원).

테마 검색 메뉴의 모습이다. 사진과 같이 색다른 장소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메뉴로 자신의 위치에서 기능을 실행시키면 주위에 있는 장소가 탐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행을 다닐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팜스테이: 농촌 체험이나 지역별 축제 등에 대한 정보 제공).

관심지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메뉴로 마이핀을 통해 온라인상에 저장해 둔 나만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거나 다른 사람들과 위치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환경 설정 메뉴 모습, 총 4개의 큰 카테고리로 분류돼 있으며 관련 메뉴를 클릭하면 작은 메뉴로 자세히 분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의 밝기나 폰트 및 음성 설정이 가능하며, 탐색 및 주행설정, GPS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지상파 DMB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실내에서 테스트 해 본 결과 모든 채널이 별다른 끊어짐없이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풀(FULL)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PIP를 지원해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면서 DMB방송을 실행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DAB)도 지원 가능하다.
단, JSS(이미지 정보)는 지원하지 않지만 DLS(문자 정보)는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습으로 깨끗하게 재생 하지만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필자가 테스트 한 파일은 인코딩을 하지 않은 파일이다. 바닥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코딩을 할 수 동영상을 감상한다면 끊어짐 현상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MP3 파일을 실행한 모습, 터치스크린을 지원해 구간 이동이 상당히 간편하다. 랜덤재생 및 반복재생이 가능하며, 각 버튼들이 직관적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다(내비게이션의 멀티테스킹이 가능).

‘사진 보기’ 기능을 구현해 봤다. 3000픽셀 원본 사진의 확인도 가능하며 별다른 깨짐 현상없이 재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USB HOST 기능과 연동한다면 활용성이 커지리라 생각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의 외부출력 기능을 활용해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하단의 사진과 같이 핸드폰의 DMB방송을 기기에서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현재 카 AV를 하고 있을 경우 기기와 연결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환경 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볼륨설정 및 화면밝기 설정이 가능하며, 펌웨어 업그레이드, 터치스크린 보정, 초기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리뷰를 진행했던 XPN-700D는 최신사양의 제품은 아니다. 하지만 유저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은 모두 포함돼 있어 만족스럽다.
직관적인 UI 구성으로 내비게이션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라도 쉽게 기기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지상파 DMB 지원 및 PIP지원으로 자동차를 타는 재미가 더욱 커질 것이란 생각을 해 본다.
다소 우려되는 부분은 맵이다. 내비게이션은 다른 디지털 제품과 달리 기기적 성능보다는 어떤 맵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유저들이 움직이는 제품.
제조사에서는 아이나비나 맵피 등과 비교를 통해서 콩나비의 우수한 성능 및 정확성을 유저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아직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800 해상도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하나둘씩 출시되고 있다. XPN-700D을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추후에는 최신 기능으로 무장한 신제품의 출시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