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국민과 정보화 소외계층간의 정보격차 수준 측정지표인 정보격차지수를 조사한 결과 ‘05년 46.7점에서 ’06년 38점으로 8.7점이 개선되어 범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격차해소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결과는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지난해 전국의 일반국민 및 정보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6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에서 밝혀졌다.이는 일반국민의 종합정보화 수준을 100%로 할 때, 정보화 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05년 일반국민의 53.3% 수준에서 ’06년 62%수준으로 8.7%p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며, 특히 처음으로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를 시작한 ‘04년의 조사결과인 45% 수준과 비교하면 최근 3년간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또한, 정보격차 지수를 구성하는 정보통신기기의 접근성, 사용역량, 활용정도 등 각 부문별 정보격차 개선정도를 분석한 결과 접근성 부문은 농어촌 초고속망 구축확대 등을 통하여 농어민 층에서 가장 많이 개선되었으며, 사용역량 및 활용부문은 웹 접근성 제고와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등을 통하여 장애인 층에서 가장 많은 개선을 보였다.그러나 ‘05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각 부문의 정보격차가 크게 개선되었으나 접근부문이 일반국민의 80.2% 수준인 반면 역량(42.9%) 및 활용부문(49.2%)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된 정보통신기기 접근성을 기반으로 PC 활용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등 정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추진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아울러 이번 실태조사에서 함께 실시한 정보화 소외계층 평균 인터넷 이용률 및 평균 가구별 컴퓨터 보유율은 각각 35.1% 및 60.1%로 나타나 ‘05년 조사결과인 29.4% 및 54.2% 보다 5.7%p, 5.9%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정보격차 지수는 일반국민과 정보화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현황을 나타내는 공식 통계로서 정보통신부와 14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는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06~’10)」의 정책성과측정과 정책방향 제시를 위한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2010년 까지는 일반국민의 80% 수준인 정보격차 지수 20점으로 감소시켜 나갈 계획이다.정보통신부는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정보화 소외계층별 특성에 맞는 정보격차해소 추진방향을 도출하고 관계부처와 연계하여 정보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활용교육 및 PC 보급, 장애인 대상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실생활형 콘텐츠 개발․보급, IT봉사단 확대 운영 등을 통해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추진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