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약닷컴(Kayak. com)의 빌 오도넬(Bill O' Donnell)이 메일 인터뷰에 응해 주었다(2006년 2월 8일). 카약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인가. 비행기나 숙박, 렌트카 등의 여행 관련 사업자를 검색해 한 번의 검색으로 가장 적절한 가격의 서비스를 찾아 사용자가 바라는 것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구상한 계기는 무엇인가. 수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의 가격비교에 오비츠(Orbitz), 트래블러시티(Travelocity), 엑스피디어(Expedia) 사이트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거나 스스로 많은 항공 회사의 웹 사이트를 검색하고있다. 그래서 한 번에 전부 검색해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카약의 운용이나 확장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가. 본업은 가지고 있는가. 이것은 나의 본업이며 우리 회사의 사업 방침이다. 직원은 몇 사람 정도 있는가. 그리고 당신의 경력을 들려달라. 카약닷컴은 8명의 프로그래머와 QA(품질 보증), 운용, 영업, 경영부문의 인원을 거느리고 있다. 당신의 설계 철학은 무엇인가. 명쾌함과 신속성, 사용자 체험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 사이트를 사용한 사람이 만족해 하고 그들의 요구가 채워지면 그 사람들은 또 돌아오고 자신의 주위 사람에게도 이 사이트를 소개해 줄 것이다. 어떠한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가. 기술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카약의 사이트를 참조해 달라. 사용자나 커뮤니티로부터 가장 요구가 많은 기능은 무엇인가. 검색 기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요금 변경의 통지 기능 그리고 검색할 수 있는 항공 회사의 증가이다. 카약의 사용자는 일부 지역에 집중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넓게 분산하고 있는가. 카약의 사용자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 있다. 반년 후 혹은 2년 후에 카약은 어떻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가. 최고의 여행 검색 엔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데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마케팅이다. 한 번 이 사이트를 안 사용자는 대부분의 경우 만족한다. 그러나 사용자를 모으는데는 시간과 자금이 든다. 카약을 다음의 단계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트래픽이다. 카약의 기반이 되는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면 무엇인가. 광고이다. 괜찮다면 하루 평균 접속량을 가르쳐 달라. 알렉사나 컴스코어의「미디어 메트릭스」에서 거의 정확한 자료를 알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쪽을 참조해 달라. 카약에 대해 가장 우수하다고 자인하는 점은 무엇인가. 검색 결과의 필터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결과가 ’즉시’ 갱신된다. 웹 상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대해 젊은 사람들에게 설명해 달라. 2004년에서 작년에 걸쳐 웹 브라우저의 스크립트 실행 능력이 일정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것에 의해 단순히 ‘전자 서적’이라기 보다 품질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느껴지는 웹 사이트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자신의 사이트 이외에 매일 어떠한 사이트에 접속하고 있는가. ‘블로그라인즈’, ‘슬래시닷(slashdot)’, ‘구글 지메일’이다. 수면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수면 시간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이것은 카약닷컴과는 관계 없다. 3명의 아이들 탓이다. 메일 인터뷰에 응해준 카약의 빌 오도넬에게 감사를 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