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 「레지스트리」와 「리포지터리」를 혼동하지 말자

일반입력 :2006/08/29 09:48

Joe McKendrick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s: SOA)를 구축하는 기업들에 있어 ‘관리체계(governance)’라는 개념은 그들의 머릿속에 최우선순위의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근래 들어 ‘레지스트리(registry)’ 및 ‘리포지터리(repository)’라는 말을 흔히 듣게 되는데 이 두 용어는 그 경계가 불분명하며 심지어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용어는 서로 간에 분명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번 주 BEA의 플래시라인(Flashline) 인수 발표 와중에 BEA 아쿠아로직 제품 계열의 수석 설계자인 폴 패트릭과 플래시라인의 설립자겸 CEO인 찰스 스택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거기서 위 용어들의 차이점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나는 BEA의 패트릭에게 HP 및 머큐리/시스티넷의 판매 관계에 대해 질문했다. 이는 HP의 머큐리 인수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이번 인수 발표가 있었고 또한 BEA는 시스티넷과 레지스트리 판매를 위한 제휴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었다. BEA는 레지스트리와 리포지터리가 별개이긴 하나 ‘다소 연관성을 가진’ 제품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패트릭은 BEA가 이전과 다름없이 ‘아쿠아로직 서비스 레지스트리’란 이름 하에서 시스티넷 제품을 판매할 거라고 말했다. 플래시라인은 재브랜드화 과정을 거쳐 ‘아쿠아로직 엔터프라이즈 리포지터리’ 범주로 편입될 것이다. 결국 BEA는 BEA 솔루션 세트 내에서 별개이면서도 ‘다소 연관성을 가진’ 제품들로써 레지스트리(시스티넷)와 리포지터리(플래시라인)을 제공하게 된다. 패트릭은 레지스트리와 리포지터리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분했다. ‘레지스트리는 실행 시간 환경(runtime environment)에 중점을 둔다. 레지스트리 서비스와 바인딩 정보를 찾다 보면 레지스트리와 연결될 수 있다. 반면 리포지터리는 ‘디자인 타임 활동(design time activities)’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고 그는 말했다. 그렇다면 이 둘은 서로 간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사실 리포지터리는 서비스에 있어서 실질적 정의가 없다. 단지 리포지터리는 리포지터리 유효기간 내의 상이한 시점들에서 위 서비스에 대한 다중의 정의를 가질 뿐이다. 일정 시점에서 이들 정의 중 하나만이 생산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게시된다,” 이게 레지스트리가 하는 일이다. ZDNet 블로그에 참여하고 있는 다나 가드너는”SOA/UDDI 레지스트리와 SOA 메타데이터 리포지터리의 차이점에 대한 올바른 인식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을 밀접히 정렬시킴으로써 SOA 정책관리에 따른 여러 혜택을 볼 수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BEA는 어떤 기업이 SOA프로세스에서 자리한 위치에 따라 위 두 가지 요소를 일괄적으로든 또는 개별적으로든 제공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한다. 이 분야에서 BEA가 가진 비전이라 할 것 같으면 개발자가 일정 서비스를 리포지터리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실행시간 시 해당 서비스의 정확한 정의가 자동으로 레지스트리에 게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플래시라인을 이용하면 이 서비스가 레지스트리까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리포지터리 환경이란 ‘관리체계’라는 개념 그리고 여하한 인증 사이클이나 생산 환경에서 정보게시 이전 이행되어야 하는 허가에 대해 생각해보는데 있어 특히나 자연스러운 장소이다,”라고 패트릭은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