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검색 용어「구글」, 사전에 오른다

일반입력 :2006/07/11 09:50

Jonathan Skillings

지금으로부터 몇 년 전에는 구글(Google) 검색엔진이 알타비스타(AltaVista)나 지브스(Jeeves)가 지났던 길을 걸었을지도 모르지만, 현재의 구글(google)은 길로틴(guillotine: 단두대)과 제리매너(gerrymander: 선거구를 멋대로 개편하려는 자)처럼 언어적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최근에 이 단어는 아틀랜틱(Atlantic) 사전 같은 저명한 사전들에 실려있다. 메리엄웹스터는 이번 주부터 온라인으로 검색한다는 의미로 소문자로 시작하는 ‘구글’의 사용을 인정했다. 옥스포드(Oxford) 영어 사전도 지난 6월에 "Goolge"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google"을 수록했다. 구글은 이런 동향으로 제록스(Xerox), 크리넥스(Kleenex), 밴드에이드(Band-Aid) 같은 상표들처럼 일반적인 단어가 됐다. 비교적 잘 확립된 단어인 텍스트 메시징(text messaging: 휴대폰 문자 메시지 보내기), 메쉬업(mash-up: 통합), 마우스포테이토(mouse potato: 컴퓨터 중독자)처럼 많은 기술관련 용어들도 사전에 실려있다.많은 사람들은 블로고스피어(blogosphere: 블로거들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우스운 뉴스를 읽고 즐거워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런 회사의 브랜드와 관련된 일을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확실히 구글플렉스(Googleplex: 아직 단어가 되지 않았다)의 변호사들은 그렇다. 블로그 커뮤니티의 답변들"구글은 단어가 된 상태를 그냥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상표권을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인가?"--에프씨나우(FC Now)"구글은 크리넥스처럼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단어이다. 나는 마케팅에 이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배블링 브룩(Babbling Brook)"마케팅 세계(Marketing Pilgrim)에서는 어떤 재미있는 단어들을 만들었다. (중략) 회사가 인기를 잃었을 때나 중요 블로거가 회사를 떠났을 때 사용하는 'scobled'가 있다. (중략) 나는 'MySpaced'라는 취업 용어를 하나 만들었다. 자신의 개인 공간의 게시한 내용 때문에 취업할 기회를 잃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동의어로 'Dooced'가 있다" --엑셀러에잇션(Exceler8ion)"그런데 '사이브러리(cybrary: 사이버와 라이브러리의 합성어)' '마우스포테이토'는 1995년 와이어드(Wired)에서 화제가 되었던 단어들인가?"--슬래시닷의 오터(3800) (Otter (3800) on Slashd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