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는 광대역통합망(BcN)의 표준모델을 마련,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2단계 시범사업에 적용키로 했다.BcN포럼에서 표준모델 마련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박영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1일 "이달 중 BcN 표준모델 1.0버전을 마련해 관련업계에 배포하고 추가로 보완사항을 수정해 하반기 시범사업에 적용하기로 했다"며 "표준모델은 BcN을 구축하고 있는 사업자들간의 상호호환성 확보를 통해 BcN 사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BcN 표준모델은 망 구조와 서비스내용에 대한 기준이다.이 가운데 전달 망은 현재 인터넷 망, 음성 망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하나의 단일 망으로 통합된다고 판단해 '단일 프리미엄 네트워크'로 구성토록 했다. '단일 프리미엄 네트워크'는 차별화된 QoS(서비스품질보장) 제공과 보안성이 보장되는 망이다.가입자 망은 유선부분에서는 FTTH와 HFC를 모두 사용하기로 했으며 무선부분은 4G(세대)망을, 방송은 양방향TV를 위해 FTTH를 구축하기로 했다. 홈(가정내) 망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유비쿼터스망(USN)으로 정리했다.BcN 표준모델의 서비스 내용은 망 구조에 기반해 유·무선, 음성·데이터, 방송·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하지만 표준모델과 관련, 과금방법 및 과금 구간, 사업자별 연동규격, 한정된 홈 망을 텔레매틱스, 사무실 등으로 확대하는 문제 등 BcN사업자간 상이한 입장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반기 중 의견을 조율하기로 했다.박 연구원은 "통신사업자간 공감대를 통해 표준모델의 1.0버전을 완성했고 상반기중 추가 적인 내용을 보완해 하반기 시범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작업을 마무리할 것"이라며 "표준모델은 상호 연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BcN의 기술적인 모델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