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만 해왔다면 다시 한번 점검을 해야할 때가 온 것 같다. 개발, 통합, 테스트, 관리 등 전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을 지원하는 서비스 레벨을 적용하지 않고서는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의 효율적인 관리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컴퓨웨어가 홈그라운드인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시장에 서비스 관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얹었다. 비즈니스와 IT의 연결 방법론은 결국은 서비스 개념을 추가한 ‘ASM(Application Service Management)’이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한국컴퓨웨어의 박내석 부장을 만나 컴퓨웨어가 말하는 ASM의 개념과 비즈니스 방법론을 들었다. 컴퓨웨어가 말하는 ASM에 대한 개념 설명을 간단히 한다면. 전 애플리케이션 성능관리에 서비스 개념을 추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APM을 서비스 레벨에서 관리하는 것이다. 그동안은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에 대한 1차적인 차원에서의 관리가 이뤄졌지만, 이제는 한단계 올라선 서비스 중심의 관리가 이뤄져야 할 때다. APM과 유사한 개념으로 다소 혼선이 있을 수도 있다. 어떻게 보는가. 물론 APM과 ASM은 따로 떼어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APM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보면 된다. APM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성능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고, ASM은 여기에 서비스 관리라는 개념이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발 단계인 코드 레벨의 성능관리부터 적용 단계의 확장성과 성능 테스트, 운영 환경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성능분석, 모니터링, 문제해결까지 일괄관리가 가능하다. 기업은 향후 IT 투자계획을 세울 경우, 기존 IT 환경과 미래 IT 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IT투자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기업이 ASM을 위해 준비해야할 부분이 있다면. ASM은 정의-측정-분석-검증-컨트롤이라는 5가지 단계를 밟는다. 먼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요구 조건을 정의하고 측정하며, 성능이 저하된 원인을 분석한 후 검증된 솔루션과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개선한다. 그 다음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성능 확보를 위한 프로세스를 확립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마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의 도입 우선 순위는 다르다. 기업 환경을 먼저 점검해 도입해야 하며 단위별로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은 개발 솔루션을 기본적으로 도입하고 그 다음에 운영 준비 솔루션을 도입하게 된다. 적용부터 운영 단계까지는 약 2개월이 소요된다. 규모 파악 이후 구현까지 걸리는 시기로 볼 수 있다. ASM을 통해 어떻게 비즈니스와 IT의 연결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인가. 비 IT적인 측면은 비즈니스적으로 매출과 이익, 비용절감, 고객만족, 경쟁우위 확보 등을 타깃으로 한다. 이런 요구 사항을 맞추려면 IT 분야에서 애플리케이션 구축, 애플리케이션 품질, 애플리케이션 성능, 서비스 지원 등이 밑받침이 돼야 한다. 적기에 최소의 비용으로 품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경영자의 궁극적인 요구사항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TCO 절감 효과를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ASM의 필요성이 적극 대두되고 있다. 갈수록 IT와 비 IT의 갭이 줄어들고 있다. 이제는 비즈니스적으로 접근해야할 때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관리 진화 단계로 말하면, 어느 수준에 해당되나. 과거에 애플리케이션 관리는 서버에서 네트워크로 무게 중심이 이동했다. 이제는 애플리케이션 문제 해결 단계를 거쳐, 서비스 레벨 모니터링을 위한 서비스 중심으로 무게가 옮겨지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레벨은 물론 하단에 PC, 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괄한다. 전체적인 관리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을 해결해준다. 경쟁 솔루션과 비교해 밴티지 솔루션이 가진 강점은 무엇인가. 컴퓨웨어의 밴티지 솔루션은 메인프레임, 클라이언트/서버, 웹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또 MS 익스체인지, SAP R/3, 오라클, 시트릭스(Citrix) 등 2000여 가지의 다양한 기업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용자 시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관리 뷰를 제공하고 엔드 투 엔드 성능 분석을 통한 통합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복잡한 성능 문제의 프로액티브한 조기 발견과 신속한 해결이 가능해진다. 이밖에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트랜잭션, 인프라 관점에서 관리할 수 있어, 개발 가속화, 품질 강화, 애플리케이션 적용 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보증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